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자신
자기
스페셜
"
스스로
"(으)로 총 953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존재하는 공간이 무의미하다고 주장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지각가능한 실체만이
스스로
존재가능하며 모든 사유의 출발점이라며 실체와 분리된 공간을 부정했다. 대신 그는 실체끼리의 관계를 통해 공간 개념이 나타날 수는 있다고 보았다. 원래부터 존재하던 ‘아무것도 없는 공간’은 애초에 ... ...
사물과 사물이 소통한다, 사물인터넷!
KISTI
l
2015.03.17
미연에 방지하는 시스템을 구상중이다. 운전자가 보기 어려운 차량을 보고 위험을
스스로
감지해 자동차가 이를 피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농업 분야에서도 사물 인터넷 활용 시도가 등장했다. 농업 관개 전문 첨단 기업 ‘밸리 이리게이션’은 농작물이 뿌리를 내리는 흙 1.2m 깊이에 센서를 사용해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연구 초기에는 암흑물질이 소형 블랙홀이나 빛을 낼 수 없는 천체, 또는 성간물질처럼
스스로
전자기파를 만들어낼 수 없는 천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이러한 천체들을 ‘마초(MACHO, MAssive Compact Halo Objects)라고 하는데, 새로운 가설을 만들지 않아도 되는 깔끔한 설명이지만 마초만으로는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무슨 일인가를 저지른 결과이긴 하지만, 대개의 경우에는 희생자가 자신의 세계와 자신
스스로
에게 저지른 일의 결과이다”라는 관점이 득세했다. 손택은 “이처럼 터무니없고 위험한 관점은 질병의 책임을 환자에게 덮어씌우는 짓”이라고 주장했다. 암은 유전자 변이의 질환으로 그 원인은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KOITA
l
2015.02.16
박사의 접근법은 “생명은 소중하다”는 큰 원칙을 프로그래밍 해준 뒤, 로봇이
스스로
사고를 피하는 방향으로 행동하게끔 해주는 것이다. 그가 개발한 프로그램 하나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공리주의 원칙에 따라 결정을 내린다. 이 인공지능을 탑재한 돌봄 로봇은 환자의 ... ...
[만화] 9시 등교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KISTI
l
2015.02.02
사람의 뇌는 잠을 잘 때 낮 동안 학습했던 정보들을 정리하거든. 그날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반복해서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데, 잠을 깊이 푹 자면 장기 기억 저장이 훨씬 더 잘 되기 때문에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된단다. 밤새 벼락치기를 하면 다음날 시험에는 도움이 되지만 며칠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이 방법이 환자와의 의사소통 목적으로만 쓰이지는 않는다. 연구하기에 따라선 환자
스스로
휠체어 등의 환자 이동용 도구를 조작 할 수도 있고, 좀더 기술이 발전하면 팔다리에 장착한 로봇팔이나 다리를 조종 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재 뇌신호 기술은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
2015.01.20
있으며 이에 따라 고령화에 의한 사회, 경제적 비용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노년층이
스스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자립성을 가질 수 있게 해주는 기기의 개발은 사회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과제다. 간병인의 도움을 받아야 움직일 수 있는 경우와 비교한다면 각종 보조기구의 보급은 반드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과학자의 논문 조작 스캔들에 휘말려 극도의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하고 지난 8월 5일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7. 발터 게링 (1939. 3.20 ~ 2014. 5.29) 기형 초파리의 비밀을 푼 발생학자 발터 게링 - 바젤대 제공 머리에 다리가 달리고 날개가 네 장인 초파리를 보면 신기하면서도 좀 징그럽다. 이런 기형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평가를 할 수는 없지만 신경가소성 등이 발견되면서 힘을 얻고 있다고 한다. 1981년
스스로
만든 ‘신경과학연구소’에서 일하며 에델만은 대중을 위한 뇌과학 교양과학도서도 여러 권 썼다. 이 가운데 ‘뇌는 하늘보다 넓다’ 등 세 권이 우리글로 번역돼 있다.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