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종대왕릉의 비밀 통로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9호
-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런데 이게 웬일? 세종대왕릉과 불과 50여 미터 떨어진 곳의 큰 바위 아래에 지하로 들어가는 통로를 발견한 것이다. 썰렁 홈즈와 고고학자들이 조심스레 안으로 들어갔다. 썰렁 홈즈의 앞에 첫 번째로 나타난 것은 한글이 새겨진 거대한 방이었다. 말을 이어 다음 통로로 ... ...
- 우리 문화재를 지킬 피리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9호
- 큰 소리를 내고 싶다면호루라기가 최고야!신호를 보내려면 큰 소리가 필요하겠지? 큰 소리를 내려면 호루라기가 최고야. 그래서 운동 경기에서나 교통경찰들도 호루라기를 사용한다구. 알루미늄 캔만 있으면 호루라기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준비물은 알루미늄 캔, 가위, 둥근 펜이면 ... ...
- 태권도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8호
- 할 수 있지요. 추가 달려 있는 줄의 중심은 거의 움직임이 없지만 끝에 달려 있는 추는 큰 움직임을 만드는 것과 마찬가지랍니다. 이런 특징 때문에 태권도는 가장 힘을 적게 들이고도 효과적으로 빠른 공격을 할 수 있는 격투기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알면 알수록 더 자랑스러운 태권도. 사진 속의 ... ...
- 나도 이제 카트라이더~!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8호
- 카트 엔진에 달려 있는 톱니바퀴의 톱니 10개, 바퀴에 달려 있는 톱니 86개를 사용한다. 더 큰 힘을 내려면 엔진과 바퀴의 톱니 비율을 줄여야 하지만 엔진에 무리를 줄 수 있다.이제 직접 카트를 타 보자~!우리나라에 카트가 소개된 지는 10여 년 전으로 그리 길지 않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만큼 카트 ... ...
- 무인도 탈출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8호
- 밑에는 고운 모래를 채운다. 그 위에는 숯을 넣고 다시 고운 모래, 가는 자갈, 굵은 자갈, 큰 돌멩이와 낙엽의 순서로 재료를 쌓는다. 여기에 물을 부으면 여러 층을 거치며 정화된 물이 구멍을 통해 떨어진다. 특히 숯의 표면에는 작은 구멍들이 많이 뚫려 있는데 바로 이 구멍이 냄새를 빨아들이거나 ... ...
- 달 달 무슨 달?! 달이 너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8호
- 공전하면서 바닷물을 끌어당기기 때문에 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것이지요. 물론 달보다 큰 태양도 바닷물을 당기지만 달이 지구에 더 가깝기 때문에 당기는 힘이 더 세답니다.일식과월식을일으켜!일식과 월식은 태양 주위를 지구가 돌고, 지구 주위를 달이 돌고 있어서 일어나는 현상이에요. 태양과 ... ...
- '식물원에 대한 편견 깨뜨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7호
- 번식과 보호에 힘쓴 결과 8500종의다양한식물을보유하고있다. 하지만 한택식물원의 가장 큰 자랑거리는 우리나라에서 드물게 식물원으로서의역할을 충실히 하고있다는 점이다. 식물원은 다양한 종을 갖추고 연구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사람들에게식물이 어떤 존재인가를 느끼게 해 주는 ... ...
- 쓰러진 트로이목마를 일으켜 세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7호
- 윤혜의 아이디어에 감동을 하며, 일으켜 세운 트로이목마를 보았지. 그런데 한 가지 더 큰 문제가 생겼어. 거대한 트로이목마를 일으켜 세우는 데는 성공했지만 이 무거운 것을 어떻게 옮기지? 그리고 레오미스터리연구소 안에 트로이목마를 어떻게 들여 놓지?“으~앙! 다시 도와 줘~ ... ...
- 상어는 지구온난화를 좋아해!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7호
- 질려 도망가기 시작합니다. 그 존재는 무엇일까요? 바로 사람들이 바다 생물 중 가장 큰 공포감을 느끼는 식인상어입니다. 이런 장면은 주로미국의 플로리다 해변 등 따뜻한 바닷가에서나 볼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식인상어의 대명사인 백상아리는 수온이 따뜻한 바다에서만 서식하니까요.그러나 ... ...
- '내 사랑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6호
- 곳곳에서 활약하며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해 줄 것이다. 이번 특별 취재는 로봇 발전의 큰 힘이었던‘로봇에 대한 상상력과 애정’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로봇박물관’을 가 본다. 다양하고 기발한 로봇들의 모습을 보면서 미래에 자신이 만들 로봇의 모습을 상상해 보자. 100년 로봇 역사를 만날 ... ...
이전8678688698708718728738748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