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스페셜
"
1
"(으)로 총 10,0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의 사회심리] 겸손이란 뭘까
2017.11.25
겪곤 한다. 반대로 자기지각의 내용이 지나치게 긍정적인 사람들(실제 능력치가 7인데
1
0이라고 생각하는)의 경우 내가 하면 다 할 수 있을 거라며 존재하는 실패 위험이나 문제들을 간과해 해결해야하는 문제가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장기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내곤 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달라붙어 통로를 열어 신경신호전달을 차단해 근육을 마비시켜 작용한다. 그런데 KPNB
1
단백질에도 달라붙어 그 작용을 방해한 것이다. 다만 이버멕틴 단독으로는 항암 효과가 충분하지 않았고 택솔 같은 기존 항암제와 함께 쓸 때 시너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이처럼 두 가지 이상의 ... ...
[사이언스 지식IN] 연초형 일반 담배 VS 궐련형 전자담배, 건강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검사를 실시했는데요. 중독을 일으키는 니코틴은 연초 담배(한개비당 0.33mg)보다
1
.
1
배에서 최대 2.6배 높게 나타난 것이 확인됐습니다. 다만 액상형 담배는 담배애호가가 직접 제조할 수도 있기때문에 니코틴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데요. 연초담배보다 니코틴 양을 줄일 수 있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차이가 빛의 색이 아니라 세기 때문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누군가가 주장해도 “
1
00% 그렇지 않다”고 반박할 수 없을 것 같다. 연구자들이 녹색빛 방과 빨간빛 방에서 비교 실험을 하지 않은 것도 아쉬운 대목이다. 그런데 문득 파란빛의 모순을 설명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연구자들은
1
997년에서 2003년 사이 대만의 전통의학 처방을 조사한 결과 인구의 3분의
1
이 AA가 포함된 약초를 복용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논문 말미에서 저자들은 또 다른 충격적인 사실을 얘기하고 있는데 AA가 쥐방울덩굴속 약초에만 들어있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즉 분류학적으로 한 단계 위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
2017.10.31
haemoglobin-based oxygen carrier)를 주로 다루고 있는데, 놀랍게도 남아공에서는 200
1
년부터 상용화돼 쓰이고 있다. 즉 HbO2세라퓨틱스(Therapeutics)라는 미국의 회사가 만드는 헤모퓨어(Hemopure)라는 제품으로 소의 적혈구에서 추출한 헤모글로빈
1
5~
1
6개로 이뤄진 작은 입자가 들어있는 액체다. 헤모퓨어는 진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보면 (세슘
1
37과 세슘
1
34를 합친 값이다. 세슘
1
34는 반감기가 2년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세슘
1
37에 상대적인 비율이 떨어진다.) 사고 초기 원전 인근 해수의 방사능(녹색 네모)이 엄청나게 높았음을 알 수 있다(세로축은 로그 척도다). 해수의 경우 입방미터 당 베크렐이다. 흥미롭게도 사고 초기 부어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짜 있는 걸 본 적이 있다). ‘로또에 뽑힌 환자들’(예전에도 치료받기 어려웠는데 3분의
1
로 줄었으니)은 권위 있는 의료진의 세심한 치료에 자기 의견도 얘기할 수 있게 됐다는 말이다. 그 결과 치료 자체의 질이 높아지는 건 물론이고 플라시보 효과도 최대로 누릴 수 있고 반면 노세보 효과는 ... ...
심장 세포가 심장만 만들 수 있는 이유를 찾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7.10.15
되는 과정에 대한 논문이 발표됐습니다. GTEx 컨소시엄의 이름으로 발표된 논문
1
)은 빅데이터를 이용해 유전자의 발현이 유전적 변이에 영향을 받는 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알렉시스 배틀 미국 존홉킨스대 교수와 스테판 몽고메리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각 조직에 맞는 유전자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
1
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명예교수가 쓴 드레버의 부고가 실렸다. 이를 바탕으로 그의 삶과 업적을 살펴본다.
1
93
1
년 영국 비숍턴에서 태어난 드레버는 공학자인 삼촌의 영향으로 어릴 때부터 전쟁 잔해로 TV수신기를 조립하며 놀았다. 초중고 시절에는 공부와 인연이 멀었지만 글래스고대에 들어가 두각을 나타내 ... ...
이전
867
868
869
870
871
872
873
874
8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