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연료전지 비행기 이륙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하지만 일정시간 안에 전달할 수 있는 정보량이 얼마 되지 않아 비상 신호를 보내는
데
사용한다 그리고 이 신호를 수신한 잠수함은 초장파 통신이 가능한 물 높이로 부상해 작전 내용을 전달받는다잠수함은 수중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위치 파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 ...
뜨거운 극지의 가슴 차가운 적도의 눈물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데
한몫하는 당신, 그래도 모른 척 할 텐가.당신의 무관심이 지구의 미래를 녹이는 주범인
데
말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뜨거운 극지의 가슴 차가운 적도의 눈물 PART1 지구의 미래가 녹고 있다 PART2 투발루여 가라앉지 ... ...
체험! 생명과학의 현장!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최초의 익룡인 디모르포돈의 화석도 볼 수 있다.호메로스의 오디세이를 읽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만큼 바이오 오디세이도 제대로 둘러보려면 짧은 시간으로는 부족하다. 그러나 21세기 오디세우스가 돼 전시물과 깊은 대화를 나누다 보면 미래 생명과학의 비전을 깨달을 수 있지 않을까. ... ...
태양망원경, 해를 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5호
태양망원경은 해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국천문연구원도 30년이 넘도록 태양망원경으로 해를 관측해 왔습니다. 사진에 있는 망원경은 ... 망원경을 주로 이용합니다. 해의 표면에는 자기력선이 모여서 작은 자석처럼 보이는 곳이 많은
데
이 부분이 바로 흑점 부근이랍니다 ... ...
방과 후에 더 재미있는 학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밸런타인
데
이 초콜릿을 주지 뭐야? 이런~ 이런, 나랑 같이 방과후학교 수업을 듣고 싶었는
데
부끄러워서 말을 못 했다나? 다음 학기엔 과학실험 수업을 같이 듣지 않겠냐고 물어 보는 거 있지? 후후, 라이벌로만 생각해 은근히 미워하던 시아랑 사이좋게 과학실험을 한다니 상상만 해도 기분이 좋은걸 ... ...
유럽은 전구 세대교체 중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인도네시아 부근에서는 저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동 태평양상에서는 고압부를 형성하는
데
, 그 기압차는 5-10 hPa 정도로 계절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남방 진동지수(Southern Oscillation Index, SOI)는 남위 17도와 서경 1백50도에 위치하는 타히티섬과 호주 대륙 다윈의 월 평균 기압의 편차로 나타낸다 남방 ... ...
암호를 부탁해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암호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강한 방패를 뚫기 위한 창도 속속 개발되고 있는
데
, 아무리 큰 수라도 소인수분해를 척척 해내는 양자컴퓨터가 2020년경이면 등장할 전망이다. 한가지 확실한 점은 새로운 암호를 만들고 푸는 과정에서 인류의 과학기술이 한걸음씩 진보한다는 사실이다 ... ...
수학의 날개를 단 '김연아'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조합한 단순한 파동의 합으로 바꾸는 방법. 전자기학에 서 편미분방정식의 해를 찾는
데
많이 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7 대한민국 수학 부활 프로젝트 PART1 당신의 '수학 혈액형' PART2 세상을 디자인하는 논리의 힘암호를 부탁해 통계로 2008년 대선 잡는다 수학의 날개를 단 '김연아' PART3 ... ...
한국도‘남극 운석’ 발견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우리나라가 남극에서 처음으로 운석을 발견했어요.1월 7일부터 남극 탐사에 나선 한국해양연구원 극지연구소의 남극대륙운석탐사단이 최 ... 남아 있어서 매우 희귀한 것이라고 해요. 앞으로 지구의 역사나 태양계 탄생 등 밝히는
데
귀한 자료가 되는 거죠. 이 운석은 우리나라의 소유물이 ... ...
손바닥만한 슈퍼컴퓨터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유기물질을 이용해 반도체를 만들었어요. 지금 반도체는 오래 사용하면 열이 많이 나는
데
유기물질을 이용하면 열도 적게 나고 전기도 덜 사용하지요. 또 전기회로의 선폭을 15나노미터로 줄여 같은 크기의 칩에 정보를 더 많이 담을 수 있도록 했어요. 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로 머리카락의 10만분의 ... ...
이전
870
871
872
873
874
875
876
877
8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