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d라이브러리
"
필요
"(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연구진, 광결정 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빛이 증폭돼 레이저가 발생한다. 지금까지는 레이저를 작동시키기 위해 다른 레이저가
필요
했지만 이 장치는 전기만 연결하면 레이저를 구동할 수 있어 실용화에 유리하다. 또 이 레이저는 빛이 만들어지는 공간을 매우 작게 만들 수 있어 레이저 크기가 작아지고 적은 에너지로도 만들 수 ... ...
생선 지방이 치매 늦춘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부검하자 DHA를 섭취하지 않은 쥐의 뉴런은 아밀로이드로 덮여있었고 학습과 기억에
필요
한 핵심 단백질이 보이지 않았다.연구자들은 이번 실험이 치매에 걸린 사람들은 DHA를 많이 먹어야 한다는 것을 확증한 것은 아니라고 말하면서도 생선을 많이 먹을 것을 추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뉴런’ ... ...
한국 정말 핵무기 개발하려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지금까지 얘기된 핵실험이 여기에 포함돼 있었던 것이다.그렇다면 우리나라는 보고할
필요
없던 과거의 연구활동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한 셈인데 왜 IAEA에서는 “심각한 우려”라는 강한 표현을 썼을까.문제는 과거의 연구활동이 아니다. 그 결과로부터 나온 핵물질인 것이다. 김영식 ... ...
물리학으로 교통체증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이미 소용없는 정보가 돼버린 셈이다. 수시간 후의 도로 상황을 미리 알려주는 시스템이
필요
한 것이다.또한 도로를 건설하기 전에 완공 후 교통흐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면 설계할 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완공 후 예상외로 차들이 몰려 상습 정체구간이 된 도로를 허둥지둥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수 없다.오 교수는 “작지만 지금보다 월등히 강한 모터, 가벼우면서도 탄탄한 뼈대 등이
필요
하다”고 설명했다. 한번 충전해 반나절은 움직일 수 있는 배터리도 나와야 한다.그는 3년 전 인간형 로봇 연구에 뛰어들면서 이론보다는 직관으로 문제를 해결했다고 말했다. 학생들이 외국 논문을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3억t 이상 우주 물자 수송, 24조원이라는 천문학적 건설비, 유지보수를 위한 첨단 로봇이
필요
하다. 어느 것도 쉽지 않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신에너지혁명이 시작된다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02. 바람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03. 수소 경제가 뜬다 연료전지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 ... ...
태풍 오면 왜 영동지방에 폭우 내릴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국지적 규모의 강수지역과 강수량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많은 연구가
필요
하다. 수치모형이 실제 대기의 움직임을 완벽하게 표현하기에 한계가 있는데다 다양한 기상관측자료로부터 최적의 기상변수를 얻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 같은 기술 개발에 집중투자하면 앞으로는 면 ... ...
첨단 음향 기술과 현대 건축이 되살린 한국의 소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통해 확인 해야만 했다. 사용된 재료들의 특성을 고려해 목표치에 가까운지 검토할
필요
도 있었다.시뮬레이션 실험은 컴퓨터가 만든 가상 무대에서 가상의 소리를 일으켜 그 진행방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보통 소리 진행 방향을 알아내는 방법으로 소리의 궤적인 음선을 추적하는 방법이 애용된다. ... ...
재미 과학자, 자연계 메탄 분해과정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이산화탄소와 함께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메탄이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을 재미교포 과학자가 처음 밝혔다. 미국 캔자스대 김형준 박사(34) ... 없앨 수 있다. 또 구리와 잘 결합하는 메타노박틴을 이용하면 구리가 없는 물이
필요
한 반도체 산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보라호, 말 탄 것처럼 흔들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자연에는 항상 변수가 생기기 마련이고, 오히려 이 때문에 더더욱 시험비행이
필요
한 것이다”고 말했다. 지상 테스트와 실제 시험비행이 완전히 똑같을 수는 없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었다.그렇다면 도대체 보라호는 어디서부터 잘못됐을까. 설계단계에서 보라호의 구조에 대한 공학적 ... ...
이전
870
871
872
873
874
875
876
877
8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