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생명과학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생명의 기쁨을 주는 것, 그것이 바로 가장
큰
보람”이라고 이야기한다.●1953년 충청남도 부여 출생●1972년 대전고등학교 졸업●1977년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졸업●198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임상수의학 박사●1984~1986년 일본 홋카이도대학 수의학부 연구원●1986년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지난 5월 3일,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을 규정한‘우주개발진흥법’이 국회에 통과되면서 본격적인 우주개발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이것은 앞으로 우리나라도 로켓을 쏘아올 ... 수 있었다. 민간 우주인은 현재 데니스 티토와 마크 셔틀워즈뿐이며, 각각 260억 원에 달하는
큰
비용이 들었다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형성하면 고리모양 분자가 된다 고리모양 DNA는 단지 한 곳만 절단하면 선상이 되므로
큰
DNA 분자가 고리모양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어렵지만 비교적 작은 바이러스의 DNA나 미토콘드리아의 DNA 등은 천연 상태에서 고리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고리모양 화합물에서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있다.표 박사는 별과 행성이 어떻게 탄생하며 어떤 과정을 겪으면서 진화해 나가는지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특히 별 탄생 과정에서 주변으로 물질을 강하게 내뿜는 현상을 대형망원경으로 관측해 이 현상의 비밀을 파헤치고 있다. “이 물질 분출 현상은 별 탄생 과정에서 별의 씨앗이 자라는 데 ... ...
창공을 가르는 날틀의 경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A-37B로 무장한 공군의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의 아슬아슬한 축하비행은 관람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둥지 찾아 4만리 날아온 싸우는 독수리이번 전시회에 단연 시선을 모은 것은 첫 선을 보인 F-15K. 청회색으로 위장한 F-15K는 한국 공군이 2008년까지 모두 40대를 도입할 차세대 전투기다. 일명 ... ...
포성 없는 사이버 전장의 전략가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연구실에 들어서자 그 흔한 실험 기기 하나 보이지 않는다. 책상마다 놓인 것은 컴퓨터와 책들 뿐. 주위를 둘러보려고 하자 연구원들이 “사진은 이쪽에서만 찍어주세요”라며 기 ... 모든 걸 다 해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이 생각하는 것을 수학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이
큰
매력이죠 ... ...
천문학자 울린 샛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최대이각이란 지구 안쪽 궤도를 도는 내행성과 태양이 이루는 각도 가운데 가장
큰
값이다. 이번 겨울에 금성이 내합이 되기 전에 맞이하는 최대이각이 된다.지구에서 봤을 때 금성이 태양과 가장 멀리 떨어지는 최대이각은 11월 4일에 생긴다. 최대이각 때 금성은 태양이 진 직후 지평선 위로 약 4 ... ...
벼룩 닮은 슈퍼 고무 탄생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많이 발견된다. 벼룩이 자기 키의 수십 배나 높이 뛰거나 작은 매미가 귀를 찢는
큰
소리를 내는 것도 이 단백질 덕분이다. 레실린은 40년전 잠자리 날개에서 처음 발견됐으며, 인간이 만든 어떤 고무보다 잘 늘어나고 탄성이 좋다.연구팀은 2001년 초파리의 DNA에서 발견된 레실린 유전자를 대장균에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매사추세츠대가 멕시코 천문광학전자연구소(INAOE)와 함께 계획 중이던 세계에서 가장
큰
밀리미터파 망원경이었다. 18개월 치를 열흘에 해결윤 교수는 “LMT를 이용하면 우주에서 제일 처음에 생긴 은하를 관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초기 우주를 관측할 수 있는 전파망원경으로는 하와이 ... ...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구름이 수축해서 별이 생겨날 때 이 가스는 은하단간물질과 상호작용을 한다. 질량이
큰
별일 경우 빨리 진화해서 초신성이 되는데, 이 때 생기는 에너지는 다시 은하에 전달된다. 만일 은하에 이 에너지가 넘치게 되면 은하는 넘치는 에너지를 가스로 뿜어내고 이 가스가 다시 성간물질을 구성하게 ... ...
이전
871
872
873
874
875
876
877
878
8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