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곧"(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빗방울이 뚝뚝뚝뚝 떨어지는 날에는 이런 우산 어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불편한 점을 없애거나 더 좋아질 방법을 생각해 보세요. 또 친구들의 이런 생각들이 곧 새로운 디자인이 되어 생활을 더 편리하게 만들어 줄 수도 있답니다.비 오는 날도 하트하트 ♡ 커플 우산www.deventory.com우산 손잡이에 자석이 들어 있어서 두 개가 합쳐졌을 때 하나의 하트 모양이 되는 우산이야. ...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텔룰라이드 금광까지 약 5km 거리에 걸쳐 교류 전기를 배달하는 데 성공했다. 곧 170km 송전에도 성공했다. 이 소식은 단번에 전 세계 전기 사업자의 눈길을 끌었다.“지금 교류발전소가 전 유럽을 휩쓸고 있습니다. 우리 회사도 앞으로 살아남으려면 직류에만 매달리지 말고 교류 시스템을 개발해야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가능성이 생겼다.우주의 종말은 수축하느냐 팽창하느냐의 줄다리기에 달려 있다. 그건 곧 물질과 암흑물질이 발휘하는 중력과 암흑에너지가 유발하는 우주팽창의 싸움이다. 우주에서 물질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5%로 95%의 보이지 않는 존재가 우주의 운명을 놓고 힘겨루기를 하는 셈이다 ... ...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특수한 장치를 이용해 소리를 분석한답니다.제돌아, 무사히 돌아가렴!제돌이와 친구들이 곧 이사할 제주시 구좌읍 김녕 지역은 야생 돌고래들이 자주 찾아오는 곳이에요. 돌고래들은 동료가 그물에 걸리면 주위를 맴돌면서 구해내려고 하는 습성이 있어요. 제돌이와 춘삼이, 삼팔이가 가두리 그물에 ... ...
- 바보야, 문제는 두려움이야!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통화 소리에 짜증을 내던 한 여성이 극단적인 얼굴 통증을 느끼며 쓰러졌다. 상황은 곧 나아졌지만 이후에도 이 여성은 주기적으로 통증을 느꼈고, 어느 날 그 원인이 바로 휴대전화 벨소리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처음에는 휴대전화 전자파를 원인으로 지목하고 치료를 위해 노력했지만, 차도가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다. 힉스 교수의 논문은 질량을 지니는 새로운 장의 존재를 예상하고 있고, 이것은 곧 새로운 입자가 존재한다는 뜻이다. 이것이 바로 질량을 가지고 스핀이 0인 입자, 즉 힉스 입자다. 이 입자는 힉스 교수만의 고유한 업적이 맞고, 따라서 이 입자에 그의 이름이 붙는 것은 어느 정도 타당하다. ... ...
- 70억 인류 정말 한가족일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인종이 생물학적으로 어떤 개념인지 논쟁이 일어났습니다. 가장 극단적인 것은 “인종이 곧 서로 다른 종이며, 지구에는 세 개의 다른 종이 있다”는 주장이었습니다. 이 말은 백인종 외에 다른 종은 사람이 아니라는 주장과 같았습니다. 따라서 다른 인종끼리는 아이를 낳지 말아야 한다거나, 다른 ... ...
- INTRO. 21세기, 지구가 불타오른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가을을 반기는 것도 잠시, 곧 추위를 걱정해야 하는 시기다. 지난 겨울도 추웠는데 올해는 얼마나 더 추워질지 걱정이다. 혹시나 ‘지구온난화 때문에 앞으론 겨울도 따뜻해지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든다. 과연 지구는 살기 편안해질까, 아니면 힘들어질까. 9월 27일 발표한 IPCC 제5차 종합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개발을 불과 몇 달 만에 끝내버려 주변을 모두 놀라게 한 적도 있었다.오 교수는 그 이후 곧 원자력연을 그만 두었지만, 그가 처음 시작한 원전 제어계측 시스템은 우리나라가 지금도 외국에 비해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자신하는 분야 중 하나다. 단언할 수는 없지만, 그가 처음 물꼬를 튼 ... ...
- 라면 나트륨 기준, 오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품질인증’의 나트륨 기준을 ‘600㎎ 이하’에서 ‘1000㎎ 이하’로 올리는 개정안을 곧 내놓을 거라고 밝혔어요. 컵라면 같은 식품에는 나트륨이 많이 들어가야 맛이 있다는 식품 회사의 주장을 받아들인 결과예요. 실제로 나트륨 양을 줄인 컵라면이 나왔다가 ‘싱겁다’는 이유로 소비자들에게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