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식"(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에 울려 퍼지는 레이더 아리랑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빠졌답니다. 1999년 발사한 우리나라 최초의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1호는 2008년 2월 공식적으로 임무를 종료했어요. 하지만 아리랑 2호와 3호는 지금도 지구를 돌면서 고해상도 카메라와 센서로 지상을 살피고 사진을 찍고 있답니다. 특히 아리랑 3호는 순수 우리기술로 만든 첫 번째 위성인데다 ... ...
- [매스미디어] 세이빙 산타 산타의 썰매를 지켜라!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떨어졌을 때, 어린이가 보기에는 공이 3m 움직였다고 가정하자. 앞의 ‘거리=시간×속도’ 공식대로라면 누구의 시간이 더 적게 흘렀을까? 바로 산타의 시간이다. 산타 입장에서는 어린이의 $\frac{1}{3}$밖에 되지 않는 짧은 시간이 흐른 셈이다.이런 식으로 계속 달린다면 어린이는 30년이나 지나도, ... ...
- 수학으로 만든 화폐, 비트코인!수학동아 l2013년 12호
- 1주일을 생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비트코인은 아직까지 달러나 유로, 원화처럼 공식 화폐로 인정받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 그 나라의 화폐와 비트코인을 교환하는 거래소가 운영되고 있다. 11월 말 현재 한국에서는 1비트코인(BTC)이 약 80만 원 안팎에 ... ...
- 수학 공식? 그림 한 장이면 OK!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장이면 수학 공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겠지? 수학에서 그림은 완벽한 증명은 아니지만, 공식을 이해하는 데에 좋은 역할을 해. 증명을 할 때에 좋은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도와 주기도 하고 말이야. 사실 나도 자네처럼 증명이 힘들어서 수학자의 길을 포기했는데, 그림을 모으고 그리다 보니 증명에도 ...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제트팩은 사실 허구의 기계입니다. 지상용으로 개발된 사례는 있지만 우주비행용은 공식적으로 아직까지 없습니다. 하지만 원리는 간단합니다. 우주공간으로 무언가를 분사하면 됩니다. 풍선을 생각해 볼까요? 공기를 넣어 부풀린 풍선의 입구를 열어봅시다. 풍선을 꽉 잡고 있으면 공기만 반대로 ... ...
- 가격 담합 잡는 벤포드 법칙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찾아봤음을 의미했다. 물리학자 프랭크 벤포드(1883~1948)는 뉴컴의 이런 발견을 1938년에 공식화했다. 벤포드는 강 335개의 넓이, 물리학 상수 104가지, 분자 중량 1800가지 등 20개 분야 자료들의 첫 자리 수 분포를 분석해 ‘벤포드의 법칙’을 내놓았다.그렇다면 벤포드의 법칙은 왜 성립하는 것일까.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3) 2004년 KHR-1이나 KHR-2가 실험용 로봇이라면 이 로봇은 개발을 끝마친 공개형 로봇이다. 공식적으로는 한국 최초의 두 발로 걷는 로봇으로 볼 수 있다. 알버트 휴보 2005년 로봇 ‘휴보’의 변형 타입.알버트 휴보는 휴보의 몸체에 아인슈타인의 얼굴을 얹은 로봇이고, FX-1은 휴보의 크기를 월등히 키워 ...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어서 별로 선호하지 않았지만, 수학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새로 배우는 게 확실하고 공식을 활용하면 답이 나오는 게 정말 재미있었다고 한다. 노 교수의 부모님은 많은 부모가 그렇듯 자식이 공부에 집중하기를 바랐다. 그래서 영화를 보러 갈 여유를 잘 내지 못했다. 그는 “고등학교 때 꼭 보고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들어오는 양(r)’과 ‘머무는 시간(W)’에 비례한다는 것으로, L=r×W로 나타낸다. 이 공식을 파라마운트 식당에 적용하면, 기준 시간 동안 손님들이 들어오는 양(r)은 정해져 있으므로 식사시간을 줄여야 손님이 테이블에 머무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파라마운트 식당을 운영하는 주인은 ... ...
- ‘빛’을 테마로 한 과학관 생겼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상상력과 호기심을 채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국립광주과학관이 10월 15일 공식 개관했다. 광주 첨단지구에 위치한 이 과학관은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건립됐으며, 2개의 상설 전시관과 기획 전시관, 어린이관, 천체투영관, 3D 및 4D관, 이동천문대 등을 갖추고 있다.과학관은 총 36개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