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모
범위
한계
스케일
d라이브러리
"
넓은
"(으)로 총 2,124건 검색되었습니다.
따로 또 같이! 세계의 인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물결 모양 또는 짧고 곱슬곱슬한 머리카락을 가졌다. 콧구멍은 크지만 코는 낮다. 두껍고
넓은
입술이 앞으로 튀어나와 있다.황인종 북방계살구색 피부에 *몽고주름이 있고 머리카락은 검고 뻣뻣한 편이다. 얼굴은 대체로 넓적하고 광대뼈가 솟아 있다. 눈썹은 흐리고 코는 길지만 높이는 낮거나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부화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로도 다양한 방법으로 번식을 늘리기 위해 노력한 결과,
넓은
우리 안에 어린 황새를 넣어서 사회화 훈련을 하면 번식률이 크게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방법을 도입하자 2~3년 만에 5쌍의 황새가 번식에 성공했다. 그 뒤로는 황새 개체수가 순조롭게 늘어나 2010년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암모니아의 끓는점이 올라가기 때문에 기압이 지구의 수십 배에 달하는 행성에서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액체 상태가 된다.산소는 어떨까. 외계생명체는 산소가 아닌 다른 원소로 호흡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성근 충북대 미생물학과 교수는 질산염을 후보로 들었다. 이 교수는 “물속에 녹아 있는 ...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단원자의 탄소막을 얻을 수 있다. 이 방식은 셀로판 테이프를 쓰는 방식에 비해 그래핀을
넓은
면적으로 만들 수 있어 디스플레이나 반도체 등 산업에 이용하는 데 크게 유리하다. 그 밖에도 실리콘 카바이드 절연체를 이용한 에피택셜 방법과, 환원제를 이용해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이 있다.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수 있는 풍경이다.무지개다리야, 길어져라 기둥 위에 돌판을 얹은 다리는 물이 깊거나
넓은
계곡에는 짓기 어렵다. 기둥을 높게 세우기 힘들기때문이다. 이런 곳에는 돌을 곡선 형태로 차곡차곡 쌓은 무지개다리(아치교)를 만든다.전남 순천시에 있는 선암사 승선교가 대표적이다. 계곡 ... ...
당신은 날 믿었어야 했어요!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그는 게임에서 이기는 전략을 수학적으로 증명하고 소수에 관한 난제를 풀며 다양하고
넓은
수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내시는 1948년에 발표한 논문으로 1994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논문을 발표한 뒤 47년 동안 그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최고의 장학금을 받고 입학했던 꽃피는 전성기도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따로 시키지 않았다”며 “발성은 노래를 부르다가 고음을 더 잘 내고 싶다거나
넓은
음역대를 부르고 싶을 때 공부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물론 소리가 나는 음역대 자체가 낮은 사람도 있다. 슈퍼스타 K2가 배출한 또 다른 스타인 존박은 음역대가낮다. 같은 3옥타브를 올라간다고 해도 남들보다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두었던 배추에 다시 비벼 땅속에 묻어둔 김칫독이나 김치냉장고에 넣으면 된다.김치란
넓은
의미에서 ‘채소 소금 절임’이다. 채소를 소금에 절이는 ‘절임’부터 김장이 시작한다는 점은 어느 지방, 어떤 김치나 마찬가지다.채소를 미리 소금에 절이면 무엇이 좋을까. ‘짜다’는 기본적인 맛을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자외선을 막아주고 있지만 오존층의 구멍은 계속해서 넓어지고 있다. 오존층 구멍이
넓은
극지역은 극자외선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도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지구의 자기장이 태양풍과 극자선에 맞서 지구를 보호하고 있다는 점이다. 만일 금성이나 화성에서 열권이 축소됐다면 이 행성들에는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되면 표면적은 3000m2로 1만 배나 늘어납니다. 이 작은 입자 1그램이 월드컵경기장보다 더
넓은
표면적을 갖게 되는 셈이에요.”표면적이 넓어지면 극소량의 물질도 놓치지 않는 센서로 활용하기 좋다. 야구공이 날아올 때 정확히 유리창을 깰 확률보다는 건물 어딘가에 맞을 확률이 더 높은 것처럼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