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공구
연장
용구
기계
계기
수단
d라이브러리
"
도구
"(으)로 총 2,136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수학으로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가설은 깨졌지만, 마샬이 만든 수요공급곡선은 여전히 수요와 가격을 판단하는 유용한
도구
다. 많은 경제학자들이 이를 바탕으로 수학을 이용해 경제현상을 분석한다. 특히 수리경제학, 계량경제학, 통계경제학, 금융공학 등 경제학의 여러 분야에서는 수학을 중심으로 경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만드는 것은 세상에 널렸다. 그 중에 로봇은 궁극적으로 개인의 친구로 가장 친숙한
도구
가 될 것이다. 로보랩에서 그 미래를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다 ... ...
혀를 알면 발음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물고 발음하기’가 실제 발음에 효과가 있는지 분석했다. 양 교수는 대학생들이 아무런
도구
를 사용하지 않고 자유롭게 발음했을 때와 나무젓가락을 물고 발음했을 때 혀 위치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자유롭게 발음할 때는 차이가 없었던 일부 단어를 나무젓가락을 사용했을 ... ...
스펀지 MATH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바퀴는 □을 재던
도구
였다!자~! 첫 번째 문제입니다. 네모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일까요? 상상력을 발휘해 자유롭게 떠올려 보세요. 생각보다 어려운 문제인가요? 여기저기서 오답이 속출하는군요! 발자국? 담벼락? 고인돌이라고요? 모두 ‘땡!’입니다. 도대체 고대 사람들은 바퀴로 무엇을 ... ...
연산, 흥미를 갖고 따라와~!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해결하는 재밌는 학문입니다. 조금 어려운 말로 표현하면 자신의 논리를 성장시켜 주는
도구
이기도 하고요. 수수께끼를 풀 때도 단서를 이용해 논리를 따져가며 정확한 대답을 찾아가잖아요. 수학도 수수께기와 꼭 닮은 아주 흥미진진한 학문이랍니다.수수께끼 풀이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수 ... ...
Part1. 작아서 강한 큐브샛, 인공위성 성능 뺨친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공간에서 가장 골치 아픈 문제는 수명이 다한 위성의 잔해와 추진체 파편, 각종 실험
도구
등 우주쓰레기다. 우주쓰레기는 궤도를 돌고 있는 위성과 충돌하거나 우주정거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 레이더로 감지할 수 있는 10cm 이상 크기의 우주쓰레기는 약 10만 개 정도로 추정된다. 1년에도 수천 ... ...
2012 FLL KOREA 현장 속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딱 한 개만 쓰기로 한 것이다. 모터 대신 로봇에 식품 모형을 건질 수 있게 어망 같은
도구
를 달았다.FLL KOREA는 단순한 로봇 경기 대회가 아니다. 주제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도 있다. 각 팀별로 ‘식품’에 관련된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발표한다. 프리스팀은 생선의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보내는 인공전자장치다. 이 장치를 이식하면 청력손상이 심해 보청기 등 청각 보조
도구
를 써도 잘 듣지 못하는 사람들이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 장치를 이식하면 내부장치를 영구적으로 귓바퀴 뒤에 부착하고 어음처리기로 장치를 조정해야 한다. 전극은 일반적으로 달팽이관 안에 있는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수 있게 했다. 다양한 응용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공모전을 열기도 했다.예술가의
도구
가 된 게임기게임기에 관심을 보인 분야가 또 있다. 바로 인터랙티브 아트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기존 예술과 달리 참여자(인터랙티브 아트에서는 ‘관람객’이 아니라 ‘참여자’라는 표현을 쓴다)가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MRI) 같은 분석장비가 개발되면서 청소년기 뇌 발달의 비밀을 밝힐 수 있는 ‘
도구
’가 생겼다.얼핏 보면 뇌의 성장은 몸의 성장보다 빨리 일어난다. 갓 태어난 아기는 머리가 몸뚱이만하다. 키가 1m를 조금 넘는 6살 무렵에 뇌는 이미 어른 크기의 90%나 된다. 12살 정도가 되면 뇌의 부피 성장은 거의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