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식
하느님
군
현
주님
주예수
주간
d라이브러리
"
주
"(으)로 총 3,60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유예 기간이
주
어질 수도 있다. 오웬스 부원장은 “NIH 소속 연구자들은 외부에서 연구 수
주
를 안 해도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성실히 연구해야 할 책임이 따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Part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이를 이용해 단백질을 시물레이션하는 연구까지 섭렵했다. 현재 DGIST에는 장 교수
주
도로 구축된 슈퍼컴퓨터 ‘아이램(iREMB)’이 운영 중이다. 국내 민간 연구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슈퍼컴퓨터 중에서는 연산 처리 속도가 1130테라플롭스(TFlops·1TFlops는 1초에 1조 번 연산)로 가장 빠르다. 국내에서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페스트로 인한 사망률이 66%에서 11%로 현저히 떨어졌다. 하지만 2007년 페스트가 자
주
발생하는 마다가스카르에서 무려 8가지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지닌 페스트균이 발견됐다. 이에 따라 만약 페스트균이 생물 무기로 사용될 때를 대비한 새로운 치료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
[과학뉴스] 국제산불저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피해 규모 집계방식 등 산불 전반에 관한 연구 결과를 게재한다. 호
주
연방산업연구기구(CSIRO)가 국제산불협회의 위임을 받아 매달 발행하고 있다. 피인용지수(임팩트 팩터·Impact Factor)는 2.748로 그리 높지 않지만, 개별 연구자의 논문 인용 횟수를 기준으로 영향력을 나타낸 ‘H ... ...
[Issue] 미역국 먹으면 대학 떨어진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벌레 현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해당 곡의 가사를 글로 쓰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합니다.
주
의를 돌린다는 점에서는 일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근본적인 해결 방법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 생각하지 않으려고 애쓰지 않을 것. 딴 생각과 딴 행동을 해서 현상이 자연스럽게 사라지도록 놔둘 것. 컨닝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이는 시작일뿐이다. 앞으로 중력파를 이용해 그 동안 광학 관측만으로는 볼 수 없었던 우
주
의 새로운 비밀을 파헤치고 이해하게 될 것이다. 정말 기대된다 ...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소규모 채광 작업을 계속 하고 있다. 사진(144쪽)의 능아연석은 능아연석 중에서도 아
주
특이한 생김새를 가졌다. 지구 지질 활동의 긴 역사를 따라 4~5번의 변화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구리의 탄산염 광물인 남동석 결정이었다가, 지질 변화 과정에서 남동석은 빈 껍질만 남고 내부는 ... ...
스도쿠 잘하는 비법은 멍 때리기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2018년 2월 2~5일 우리나라에서 아시아 퍼즐선수권대회와 스도쿠선수권대회가 열린다. 곽
주
장의 바람대로 이 대회를 통해 퍼즐을 즐기는 사람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 1월 국가대표선발전이 있을 예정이라고 하니 관심이 있다면 지원해 보자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집 라돈 프로젝트, 실내 공기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변화를 감지해 지진을 예측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지요.하지만 라돈 농도를 측정한 거
주
지와 포항 사이의 거리는 약 260km였어요. 조승연 교수는 “이번에는 측정 오류일 가능성이 높다”며,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어요.라돈 농도를 낮추는 가장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지난해 4월 16일 일본 구마모토 지진 발생 당시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사우스다코타
주
에서 관측한 지진파로 지진 규모를 계산했다. 모멘트 규모는 7.0으로 나타난 반면 P파의 진폭을 측정해서 결정한 실체파 규모는 6.46이었다. 레일리파의 진폭을 측정해 결정한 표면파 규모는 7.30이었다. 북한의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