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뉴스
"
식물
"(으)로 총 2,12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열대우림 토양 탄소 배출량, 예상보다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5
준다. 토양의 미생물 효소와 탄소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수분 함량, 토양으로 유입되는
식물
쓰레기의 양, 토양 미생물 군집의 유전적 변이 등이다. 지금까지 다양한 토양 온난화 실험을 통해 온대 및 한 대 지역 토양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분석은 이뤄졌지만 열대 우림 지역에서의 실험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벼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연구자들은 심수 벼가 침수됐을 때 대응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식물
생리학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전용성 수석연구원·정민석 본부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8.10
적용해 고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고 제품화한 공로가 인정됐다.
식물
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해 천연산삼 대량 배양에 성공하고 추출공법을 찾아내 ‘삼부정근추출물’이라는 새로운 원료를 개발했다. 추출물의 미백효과도 검증해 국내 처음으로 삼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도 ... ...
국내서도 중국발 '의문의 씨앗'?…검역본부 "만지지 말고 신고"
연합뉴스
l
2020.08.07
식물
검역 증명서와 국내 검역기관의 승인이 있어야 한다"며 "신고 절차 없이 유입된
식물
종자는 국내 병해충 영향 등을 고려해 폐기·반송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
국내 연구진이 건강한 태반 발달 유도할 '스위치' 찾았다
연합뉴스
l
2020.08.06
발달하지 않으면 태아 기형과 불임·난임의 원인이 된다. 연구팀은 유전자가위(인간·동
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 DNA를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 실험을 통해 영양외배엽이 태반으로 발달해나가는 단계에서 'PHF6'라는 후성유전 인자의 기능이 중요함을 확인했다. 영양외배엽이 ... ...
벼와 모양 비슷한 사초과
식물
2종 세계 최초 발견
연합뉴스
l
2020.08.04
에도 이번 연구 결과를 반영하기로 했다. 배연재 국립생물자원관장은 "대형동물이나
식물
의 신종 발견은 매우 드물어 이번에 발견된 신종 2종은 분류학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며 "신종 발굴이 가능한 분류군을 앞으로도 지속해서 연구하는 한편 잠재적 활용 가치를 밝혀 생물산업에 활용될 수 ... ...
좀비영화 속 바이러스 대분석
과학동아
l
2020.08.01
전망한다. 인간이 좀비라는 존재를 상상한 지는 오래됐다. 미국 하버드대에서 민족
식물
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웨이드 데이비스 박사가 1983년 카리브해 서인도제도의 작은 섬나라 아이티에서 나타난 좀비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민족약학저널’에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주술사의 ... ...
[프리미엄 리포트] 바이러스는 우주에서도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25
갖고 있고, 이에 따라 다른 종의 몸속으로 옮겨져서는 쉽게 살아남지 못한다. 가령
식물
에 기생하는 바이러스는 애초에 동물 몸속에서는 살 수 없다. 숙주를 감염시키는 기본적인 감염 체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종종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처럼 동물 간에 종을 뛰어넘어 전염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또 가뭄 같은 스트레스에도 취약하다. 육종학자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야생
식물
의 유전자를 도입하는 전략을 즐겨 쓴다. 달콤한 수박 역시 이 목적으로 쓴사과멜론이나 시트론멜론과 교잡을 한 흔적이 이번 게놈 분석을 통해 드러났다. 이들 종에서 여러 스트레스 저항 유전자들이 ... ...
[주말N수학]'내사랑 철인3종 경기' 남다른 취미생활에 푹빠진 수학자들
2020.07.18
엔리코 봄비에리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역시 젊은 시절에는 야생 난초와 신비한
식물
을 찾아다니는 게 취미였습니다. 좀 더 신기한 운동을 하는 수학자도 있습니다. 조합론과 정보이론의 대가 로널드 그레이엄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교수입니다. 그레이엄 교수가 수학만큼 잘하는 운동은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