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하지"(으)로 총 1,225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테크니션이 아니라 '과학연구관'이라고 부르라2019.06.20
- 과학계에서, 여전히 그런 전근대적인 제도를 신봉한다는게 아이러니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스스로 과학을 지탱하는 제도를 만들어본 적이 없다. 과학은 국가가 통제해 왔기 때문이다. 테크니션, 보이지 않는 기술자들의 문제에서 권력관계로 얼룩진 대학원생 문제까지···과학계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슈퍼우먼, 결국 입을 다물다2019.06.15
- Sex Roles, 80, 517-526.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좋은 일은 우연이고 나쁜 일은 내 탓인가2019.06.08
- Research, 32, 507-525.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 ...
- 매년 50만 명 희생 ‘A군연쇄상구균’ 백신 개발 추진된다동아사이언스 l2019.05.31
- 개발과 류머티스성 심장 질환에 대한 조치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하지만 사망자 대부분이 소득이 적은 저개발국가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해, 대중은 물론 정책자나 과학자 사이에서도 인지도가 낮아 백신 개발이 이뤄지지 않아 왔다. IVI와 MCRI는 백신 연구를 장려하기 위한 ... ...
- 비흡연자도 폐암 걸리는 원인 규명했다동아사이언스 l2019.05.31
- 융합유전자에 의해 폐암이 발생하는 원리를 밝혀냈다. KAIST 제공 어린 나이에는 흡연을 하지 않기 때문에 어린 나이에 융합유전자가 생겼다는 것은 융합유전자가 흡연과 큰 상관없이도 정상 세포에서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세포가 암을 발생시킬수 있는 융합유전자를 가진 이후에도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끝)최종 보고서, 코딩교육 정말 필요한가?2019.05.28
- 혼자만의 우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아내의 큰 그림에 속았다는 의혹은 여전하지만 말이다. ※필자소개 김기산 기업에서 IT 디바이스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일하고 있다. 대학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하고 20년 가까이 리눅스 개발자로 지내다가 뜻밖의 계기로 육아휴직을 냈다. 지난해 한층 ... ...
- 게임몰입 청소년 10명中 6명 스스로 정상 되찾아…기대·간섭 많은 부모일수록 위험 과학동아 l2019.05.27
- 대한 자기 통제력이 생겼다. 게임에 과도하게 몰입하는 학생 절반 이상은 굳이 게임을 하지 못하도록 억지로 제한을 둘 필요가 없는 셈이다. 정 교수팀은 통계수학적 모델링 기법을 도입해 부모의 간섭과 게임 과몰입 간의 상관관계를 재확인했다. 부모의 기대와 간섭이 크고, 부모의 불안과 우울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나쁜 생각은 곱씹을수록 불어난다2019.05.25
- Bulletin, 38, 747-759.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 ...
- 전자담배 유해성 논란 속 한국 상륙 앞둔 '쥴'동아사이언스 l2019.05.22
- 기자간담회 마지막에 질의응답시간을 가졌다. 유해성과 관련된 질문엔 명확히 답변을 하지 않거나 관련 질문이 사라졌다며 항의를 받는 상황도 벌어졌다. 다만 몬시스 CPO는 “쥴은 담배 특유의 향이나 찐내가 거의 없어 간접흡연으로 인한 피해가 거의 없을 것”이라며 “일반담배로 인한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2) 게임 만들어 보기2019.05.22
- 마친 후 “RUN” 명령을 실행할 때의 설렘은 아직도 생생하다. 애써 입력한 코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코드를 잘못 입력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럴 때면 잡지와 모니터의 코드를 한 줄 한 줄 비교해야만 했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비교만 한 것은 아니었다. 코드의 논리를 분석하면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