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
글월
문장
wall
한달
매월
다달
d라이브러리
"
월
"(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대통령은 누구입니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그러나 선거 전날 정몽준 국민통합21 대표가 노무현 후보에 대한 지지를 철회함으로써 12
월
초부터 추적해 왔던 조사데이터가 무의미해졌다. 지지철회로 정몽준 지지자들의 표심이 이회창과 노무현 중 어디로 향할지 가늠할 판별분석의 근거가 사라진 것이다.결국 선거 당일 투표를 마친 응답자를 ... ...
황금바다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새 소리만 남았다.한국과 중국이 함께 지켜야할 황해동탄 습지를 방문하기 하루 전인 11
월
28일. 중국 상하이시 에펠톤 호텔에서 제4회 황해생태지역 한·중 교류포럼이 열렸다. 이번 포럼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세계자연보호기금(WWF), 일본 파나소닉이 공동으로 착수한 황해생태지역 ... ...
생명공학으로 차린 밥상 정말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있다.GMO는 식량 문제 해결에는 분명 도움이 된다. 문제는 먹어도 괜찮은가이다. 작년 9
월
프랑스 캉대 질에리크 세랄리니 교수팀은 제초제에 강한 옥수수를 쥐에게 2년 동안 먹였더니 쥐에서 종양을 비롯한 각종 장기 기능 이상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또다시 GMO에 대한 논란이 강하게 일어났다. ... ...
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더욱 은밀하게.요즘 우리나라에서 글로벌호크 구매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2015년 12
월
1일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환수를 앞두고 정부가 글로벌호크 구매 계획을 세우면서부터다. 글로벌호크는 20km 상공의 고고도에서 28시간 이상 장시간 비행하며 정찰과 감시를 수행할 수 있는 무인정찰기다 ... ...
물질파로 시간·질량 잰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시간을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됐다. 홀거 뮬러 미국 UC버클리 물리학과 교수는 물질파의 진동수를 이용해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이언스 1
월
10일 ... 근본적인 기준을 세우자고 제안하기도 했다(1kg의 기준에 대해서는 과학동아 2011년 3
월
호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참조) ... ...
호주, 고립되지 않은 대륙?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대륙은 인류 역사에서 격리된 지역이 아니라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온라인판 1
월
14일자에 실렸다.연구진은 호주 원주민들과 파푸아 뉴기니, 동남아시아, 인도인 등을 포함한 344명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호주 북부 지방 원주민 중 11%가 약 4000년 전에 인도에서 호주로 들어온 ... ...
암 전이 메커니즘 밝혀냈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의대 박사는 708번 마이크로RNA(miR-708)가 암세포의 전이과정을 조절한다고 ‘캔서 셀’ 1
월
14일자에 발표했다. 마이크로RNA는 작은 RNA 조각이며 몸 안에서 유전자 기능을 조절하고 있다.암세포는 처음 생겼을 때는 이동능력이 거의 없어서 제자리에서만 증식을 반복하지만, 어느 정도 자라게 되면 일부 ... ...
빛을 쬐면 뇌세포 자극하는 삽입물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특정 신경 세포를 조작할 수 있는 인공 삽입물을 개발하고 국제 학술지 ‘랩온어칩’에 1
월
18일 발표했다.인공 삽입물은 레이저 빛의 진동을 조절해 신경 세포 활동을 조절한다. 서로 다른 색의 빛을 쏘여 뇌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도록 했다. 연구팀은 빛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유전자가 뇌세포에 작은 ... ...
운동 많이 하면 뇌가 커진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운동을 많이 하며 자란 생쥐일수록 중간뇌가 크다는 연구 결과를 ‘실험생물학 저널’ 1
월
1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자발적으로 운동을 열심히 하는 쥐와 보통 쥐의 뇌 부피와 질량을 자기공명영상장치를 이용해 촬영했다. 그 결과 운동을 많이 한 쥐는 일반 쥐에 비해 중뇌가 평균 13% ... ...
가려움 알리는 세포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동물 실험을 통해 규명하고 신경과학 분야 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지난해 12
월
2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MrgA3 세포는 피부에 있는 감각 세포로 고통과 가려움에 반응하는 세포로 알려져 있었다. 매운 맛을 내는 물질인 캡사이신과 열에는 고통신호를, 알레르기 물질인 히스타민과 ... ...
이전
876
877
878
879
880
881
882
883
8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