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조절한 열량에 비하면 기대에 한참 못 미쳤다.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팀이 2014년 11월 ‘플로스원’에 발표한 연구 등 수많은 연구들은 DNA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이어트를 하면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했다. 기자에 앞서 유전자 다이어트 베타 서비스에 참여했던 사람은 한달 동안 무려 6kg이 ... ...
- [새 책] 인류가 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설명 덕분에 연재 당시에 고정 팬이 많았다. 이번 출간에 맞춰, 이 교수는 이 글들을 다시 1년 반에 걸쳐 다듬고 보충했다.이 책은 우리 인류의 ‘몸’과 행동의 기원을 파고든다. 그런데 시각이 독특하다. 땅에서 직접 손으로 발굴을 하는 고인류학자만의 독특한 경험이 배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유리한 구장이다.2001년부터 2014년까지 쿠어스필드의 ESPN 파크팩터는 133으로 압도적인 1위다(100을 기준으로 높을수록 타자에게 유리한 구장이다. 지난 달 베이수볼 참조). 2위권 구장의 파크팩터가 110이 채 안된다는 걸 생각하면, 쿠어스 필드가 얼마나 투수들에게 가혹했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뇌에서 후각을 담당하는 부위)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었다. 크기 비율로 따져 보면 1km 상공에서 냄새로 먹이를 찾는 칠면조독수리와 비슷했기 때문에, 티라노사우루스 또한 뛰어난 후각을 가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늑대와 같은 오늘날의 활동적인 맹수들은 뛰어난 후각을 이용해 멀리 있는 먹잇감의 ... ...
- INTRO. 21세기 파브르 곤충기과학동아 l2015년 10호
- 10월, 92살의 나이로 사망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파브르 곤충기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곤충 책을 쓰는 게 꿈이에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파브르 곤충기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 ...
- [과학뉴스] “여드름 안녕~!” 봉독으로 만든 여드름 치료제 임상시험 돌입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바른 뒤 용량에 따른 치료 효과를 분석한다. 연구를 담당한 한상미 농업연구관은 “1년 가량 임상실험을 진행한 뒤 이르면 2016년 후반부터 치료제를 시판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3만 년 전 바이러스, “기상~!”과학동아 l2015년 10호
- PNAS)’ 9월 8일자에 발표했다.이번에 발견된 바이러스는 크기가 0.6μm(1μm는 100만 분의 1m)로 바이러스치고는 매우 큰 편이다. 연구팀은 새롭게 발견된 바이러스의 이름을 ‘시베리아에서 온 부드러운 바이러스’라는 뜻에서 ‘몰리바이러스 시베리쿰(Mollivirus sibericum, 사진)’이라고 지었다.인류 ...
- [과학뉴스] 지구 나무 절반으로 줄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총 3조 그루. 10년 전 예상했던 수치(4000억 그루)보다는 7배 많지만 인류 문명이 시작된 1만2000년 전에 비하면 46%나 감소한 수치다. 연구진은 매년 벌목으로 19만km2의 숲과 100억 그루의 나무가 사라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크라우더 연구원은 “나무와 숲을 잃지 않기 위해 지금부터라도 적절한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 열대 나무다. 육지에서 바다로 흘러 들어오는 오염 물질을 1차로 걸러 바다를 깨끗하게 유지해준다. 깨끗한 물에서만 살 수 있는 산호를 지켜주는 ‘수호천사’인 셈이다. 잘피는 일종의 조류로, 맹그로브에 이어 2차로 육지의 오염물을 거른다. 최 연구원은 “잘피밭은 새끼 ... ...
이전8808818828838848858868878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