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뉴스
"
활용
"(으)로 총 15,487건 검색되었습니다.
늘어나고 쪼그라들면 색이 바뀐다…웨어러블기기용 변형 감지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4.28
변형률 센서를 개발했다”라며 “변형이 큰 소프트로봇이나 웨어러블 장치 등의 센서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나노’의 5월호에 발표됐다. 논문에 실린 개념도다. 평소 파란색으로 보이는 센서는 장력을 가해 늘리면 빨간색으로 ... ...
AI로 신약개발 후보물질 발굴 10주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8
이은주 상무, 홍용래 부사장, 이휘성 대표. 고려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인공지능(AI)를
활용
해 신약개발 기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1~2년 걸리던 신약 후보 발굴을 10주로 단축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도 도출 중인 ... ...
암컷 돼지 분비물로 유혹해 ASF 감염 야생멧돼지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8
있다. SDF 융합연구단은 구제역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AI)과 정보통신기술(ICT) 센서를
활용
해 가축의 울음소리와 활동 영상으로 질병 발생을 알아내는 돼지 관리시스템 연구를 진행하던 중 멧돼지 유인책을 고안해냈다. 김영환 경북동물위생시험소 질병진단과장은 “야생 멧돼지의 개체수 ... ...
[과학게시판] '포스트 코로나19' 온라인 포럼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체결했다. 제주대 기초과학연구소의 연구데이터를 KISTI의 표준연구데이터관리시스템을
활용
해 관리한다. ■ 한국정보화진흥원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외교부, 교육부, 농촌진흥청과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데이터를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추가 개방한다고 27일 밝혔다. 선별진료소와 ... ...
항체검사 왜 도입 검토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이동제한 조치를 풀었는데 감염률이 올라갔다면 해제를 늦추는 식으로 방역조치에
활용
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일부 국가는 나아가 항체검사를 통해 항체를 보유한 사람에게는 감염 위험이 없어 이동의 가능하다는 ‘면역여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언급하기도 했다. WHO는 “항체 형성이 코로나19 ... ...
'이 암호' 양자컴퓨터도 못푼다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포함된 이차식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난제에 기반을 둔 공개키 암호알고리즘을
활용
한 양자내성암호를 설계했다. 이 알고리즘은 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없으면 사용자의 전자서명 값을 위조할 수 없도록 설계됐다. 이 방식은 쇼어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없어 양자컴퓨터도 암호를 풀어내기 ... ...
수술 분만 위해 도입하는 코로나19 응급 진단키트 어떤 기술이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진엑스퍼트’의 경우 이미 국내에 많이 도입이 돼있어 진단키트만 들여온다면 바로
활용
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진엑스퍼트의 경우 결핵진단용으로 국내에 많이 들어와 있다”며 “미국 세페이드의 진단키트를 도입할 경우 보건소에서도 바로 코로나19 진단 검사가 가능하다”고 ... ...
"코로나19 환자 검체는 국가의 자원" 백신 치료제 연구자에 공유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이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방역당국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환자에 ... 정 본부장은 “연구용역이 진행중이기 때문에 검체가 어느 정도 확보되면 연구자들도
활용
할 수 있게끔 지원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 ...
당뇨 진단하고 망막질환 치료하는 스마트 콘택트 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뇌 질환이나 우울증 같은 정신질환을 전기 자극으로 치료할 수 있는 전자약 시스템으로
활용
범위를 넓히기 위한 연구도 수행중이다. 한세광 교수는 “임상적으로 파급 효과가 큰 진단 및 치료용 무선 구동 의료기기 상용화가 미흡하다”며 “이번 연구로 웨어러블 헬스케어 관련 산업 발전에 ... ...
70년 난제로 남았던 '준-페르미 준위 분리 현상' 규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0억분의 1m) 길이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 현상을 처음 밝혀냈다.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를
활용
해 분석함으로써 전도성이 강한 특정 나노 전자소자에서 비선형적인 전압 강하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이 준-페르미 준위 분리 현상임을 밝혔다. 김 교수는 “비평형상태의 나노 소자 내에서 발생하는 ... ...
이전
880
881
882
883
884
885
886
887
8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