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껌과의 전쟁 과학자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베이스는 식품 규격의 합성·천연 고분자 물질을 통해 제조되며, 연화제로 글리세린 등을
사용
해 껌을 부드럽고 씹기 수월하게 만든다. 바로 껌 베이스에 끈적이는 성분이 포함된다.껌의 제조 과정을 보더라도 껌 베이스의 끈적이는 성분은 다른 성분과의 결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우선 베이스 ... ...
햇빛으로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1월에는 살아있는 동물을 대상으로 햇빛 집광기를 이용한 수술에 성공했다.연구팀이
사용
한 햇빛 집광기는 지난해 10월 자체 개발한 것이다. 지름 2백mm, 초점거리 1백20mm인 접시형 거울과 지름 1mm인 광섬유로 구성돼 있다. 접시형 거울에 반사된 햇빛은 초점이 광섬유에 모인 다음 20m까지 전달될 수 ... ...
베트남전 고엽제 다이옥신 공식발표의 4배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따로 조사했다. 베트남전에는 오렌지, 화이트, 블루라고 불리는 세종류의 고엽제가
사용
됐다. 특히 이 중에서 ‘오렌지’에 다이옥신이 가장 많이 포함돼 있었다. 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유출된 다이옥신의 양은 종전의 추정치보다 무려 2배 가량으로 밝혀졌다. 종전 연구에서는 오렌지만 고려됐었다 ... ...
인간형 로봇으로 후끈 달아오른 일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일을 할 수 있도록 발전시킨 모델이다. 전시장에서 HRP-1s는 작업복을 입고 공사현장에
사용
되는 굴삭기를 척척 운전해보였다. 그러나 로봇의 정교한 움직임 하나하나는 사실 원격으로 조정되는 것이다. 만화에 나오는 로봇처럼 근사한 외형을 갖고 있는 HRP-2는 HRP-1s보다 작고 가벼운 2족 ... ...
봄밤 처녀자리에 풍성한 은하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볼 수 있는 셈이다.관측 방법은 평소의 태양 관측법과 그리 다르지 않다. 즉 태양필터를
사용
해 직접 관측하거나 하얀 스크린에 투영해 간접적으로 관측하는 것이다. 드물게 일어나는 천문현상인 만큼 시간을 투자해볼 만하다 ... ...
저항없는 꿈의 전력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수 있다. 3-4년 전에 이미 일부 상용화된 바 있으나 성능이 불충분하고 값이 비싸 많이
사용
되고 있지 않다.산학협력이 상용화의 관건약 5년 전부터 미국과 일본이 고온초전도체 합성 분야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일본이 지난해 먼저 10m를 합성한데 이어 미국에서도 같은 길이를 합성하는데 ... ...
① 나노 세계의 전투생명체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역할을 한다. 그러나 피부에 상처와 같은 틈이 있으면 얘기가 달라진다. 수혈환자나 마약
사용
자에게 HIV가 전염되는 경우나 미친개에 물려서 광견병에 걸리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바이러스가 전염되는 또다른 경로는 음식물을 통해서다. 주로 배설물에 섞여 배출된 바이러스가 손을 통해 ... ...
지구를 지키는 원자력특공대 vs 산소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보루로 쓸만한 다른 기계는 없습니까?프루빗 : (결심한 듯) 좋아요. 우리 테슬라 코일을
사용
합시다.크래시 : 테슬라 코일? 그게 뭐죠?이기자 : 제가 설명해 드릴께요. 테슬라 코일은 과학자 테슬라의 이름을 따서 지은 명칭이랍니다. 그는 1891년 고압 전원을 만드는데 쓰이는 전자 코일을 발명했는데, ... ...
2 NT · BT · IT · ST 필수 장비로 등극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짧은 시간 안에 유전적 변화의 빈도를 높였다.특히 최근에는 돌연변이를 위해 종전에
사용
돼 왔던 감마선 외에도 양성자와 같은 입자들을 이용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양성자 빔은 감마선과는 달리 생물체에 조사하면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그리고 집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 ...
병적도박과 알코올 중독 같은 생리현상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개발되고 있다. 미국 미네소타 의대 김석원 교수는 알코올 중독과 헤로인 중독 환자에게
사용
되는 아편류의 작용을 막는 약물인 날트렉손(naltrexone)이 병적도박 환자의 치료에 효과를 보였다고 2001년 ‘생물정신의학’에 발표했다. 약물치료가 가능해지면서 실제로 점점 치료율이 높아지고 있다 ... ...
이전
884
885
886
887
888
889
890
891
8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