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목성 극지에서 발견한 거대한 소용돌이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몰아치는 목성의 극지방은 지금까지 알고 있던 목성과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이번 관측에서 발견된 소용돌이들은 크기가 최고 1400km에 달하는 것까지 있었다. 연구팀은 목성의 자기장과 중력 등을 세밀하게 측정한 결과를 함께 발표했다.볼턴 연구원은 “이번에 새로 알게 된 사실들은 지구를 ...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산맥과 히말라야 산맥의 남쪽에 나타나는 것이죠.진주구름은 1870년 스웨덴에서 처음 관측됐습니다. 노르웨이에서는 크리스티아니아 천문대에서 1871년부터 1880년대까지 자주 관찰했습니다. 당시 기록은 아주 다채로운 색상을 나타냈다고 남아 있습니다. 그 중 두 건은 카를 스퇴르머라는 15세의 ... ...
- [과학뉴스] 지구랑 꼭 닮은 외계 행성 7개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트라피스트-1의 밝기가 변하는 것을 보고 앞을 지나가는 행성들을 찾아낸 거죠. 이런 관측법을 ‘통과측광법’이라고 해요.트라피스트-1 행성들은 중심별을 공전하는 것 외에도 태양계 행성들과 닮은 점이 많아요. 반지름이 지구의 0.76~1.13배이고, 질량은 지구의 0.41~1.38배로 지구와 상당히 비슷해요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진, 지구질량 외계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OGLE-2016-BLG-1195Lb)의 존재를 발견했다. 그런 뒤 NASA의 스피처 적외선 우주망원경과 공동 관측해 행성의 질량과 지구로부터의 거리 등 물리적 특성을 알아냈다.이번에 발견한 외계행성은 질량이 지구의 1.43배다. 중심별까지의 거리는 1.16AU(약 1억7000만 km)로 지구 태양 간 거리(1AU, 1억5000만 km)와 비슷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영역의 물리학이 현재 우주에 영향을 주는지 명확하지 않았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관측으로 얻은 은하 분포의 통계적 성질을 이용해 초 플랑크 영역의 물리학을 역으로 찾아 나갈 수 있다는 확신을 얻게 된 것이다.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생성하다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를 이용해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밝혀지는 음모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눈으로 확인하고 싶었지. 그런데 알다시피 우주선 외부를 관측하는 게 쉽지 않아. 웬만한 관측 장비는 전부 마고에 연결돼 있기 때문이야. 그래서 우리는 위험을 무릅쓰고 우주선 외벽에 접해 있는 이 방을 개조했다. 쉽지 않은 일이었어.여기서 우리는 별의 위치와 스펙트럼, 우주선의 가속도 등을 ...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진화했을 것이라는 가설에는 과학자들 대부분이 동의한다. 적외선 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측해보면 실제로 다양한 분자들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구에 떨어진 운석만 보더라도 포름알데히드, 일산화탄소, 물, 암모니아, 탄소고리화합물과 같은 다양한 유기분자들이 발견된다. 그렇다면 그 다음 ... ...
- [과학뉴스] 베일에 싸였던 ‘나선형 천체’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이전까지는 쌍성이 원 궤도를 그리면서 돌고 있었을 거라고 추정했지만, 연구팀은 관측한 껍질 구조를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비교한 결과 타원궤도라는 결론을 내렸다. 김 연구원은 “쌍성이 800년 주기로 타원궤도를 한 바퀴 돌면서 이런 껍질 구조를 만드는 것으로 보인다”며 “쌍성계를 이루는 ... ...
- 2017 아벨상 수상자 웨이블릿의 아버지, 이브 메이에수학동아 l2017년 05호
- 2016년에 크게 화제가 됐던 중력파 검출도 중력파에 적합한 웨이블릿 함수를 만들어 관측했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성과였다.한 분야를 집요하게 파고들어 얻은 77세 노수학자의 업적을 기리는 아벨상 시상식은 5월 23일 노르웨이의 수도 오슬로에서 열린다 ... ...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달라버틀러: 초대칭성은 힉스 입자의 질량 문제를 해결하는 가설 중 하나다(실제 관측되는 힉스 입자의 질량은 양성자의 100배가 조금 넘는 정도지만 이론에 따르면 훨씬 커야 한다). 물리학자들이 초대칭성을 좋아하는 이유는, 현존하는 세 가지 문제를 한꺼번에 풀 수 있기 때문이다. 힉스 입자의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