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달"(으)로 총 5,148건 검색되었습니다.
- [BOOK소리] 만화가와 편집자가 고른 수다의 순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연재됐던 ‘생생 양자역학’을 엮은 책 1, 2권이 지난 달 출간됐어요. ‘고전역학도 잘 모르는데 어떻게 양자역학을 알려주지?’ 무모한 도전처럼 여겨지던 이 만화는 2015년 인기리에 막을 내렸어요. 책 출간을 기념하며 당시 담당 기자였던 김정 편집장과 홍승우 ... ...
- [이달의 과학사] 8월 20일이 ‘세계 모기의 날’인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품은 상관들이 그를 말라리아가 없는 지역으로 보낼 정도였죠.그러나 사람 대신 종달새로 연구를 이어나간 로널드 로스는 마침내 1897년, 현미경으로 모기의 위 속에서 부화한 열원충이 침샘으로 몰려가는 장면을 발견했어요. 말라리아는 모기의 침샘에 모여있던 열원충이 피를 빨 때 사람에게 ... ...
- [과학뉴스] 망간에서 에너지 얻는 미생물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연구팀은 망간이 든 유리병을 씻지 않고 수돗물에 담가놓은 채 출장을 떠났어요. 한 달이 지나 연구실로 다시 돌아와 보니 유리병이 까맣게 변해 있는 걸 발견했지요. 병 속의 까만색 물질은 다름 아닌 망간산화물이었어요. 연구진은 정체 모를 세균이 망간의 전자를 빼앗아 에너지로 쓰면서, 망간이 ... ...
- [한 장의 과학] 실수로 탄생했다?! 이종교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이 과정에서 의도와 달리 정자와 난자가 합쳐지면서 수정란이 만들어졌어요. 한 달이 지나자 두 생물을 반반씩 닮은 새로운 종이 탄생했고, 두 종의 이름을 합쳐 ‘스터들피시’로 이름을 지어주었어요. 연구팀은 지금도 100여 마리가 실험실에 살고 있다고 밝혔죠. 스터들피시나 라이거, 노새 ... ...
- 과학자? 예술가? 현대미술과 과학의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온 ‘뮤온*’이라는 입자를 감지하면 이와 연결된 라는 작품으로 신호가 전달돼 관 속 액체가 순환되도록 했지요. 우주의 사건을 작품에 녹인 거예요. Q예술 작품에 어떤 의미를 담으시나요?작품을 볼 때 꼭 어떤 의미를 찾아내기보단 예술 자체를 느꼈으면 좋겠어요. 관객이 작품을 통해 ... ...
- [BOOK 소리] 용감한 어린이만 도전하라! 데블X의 수상한 책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너무 재밌어서 모두 웃음을 터뜨릴 수밖에 없는 장난을 치면 어떨까?’알베르트는 몇 달 동안 공들여 장난을 준비했다. 온갖 종류의 세제를 모아 남몰래 끓인 후 농축 세제를 만든 것이다. 그리곤 깜깜한 새벽에 학교 건물로 들어가 세면대에 농축 세제를 가득 붓고 수도꼭지를 전부 틀어 학교를 ... ...
- [이달의 과학사] 기차 시간표를 맞추려고 탄생했다? ‘그리니치 표준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설비가 마련된 런던 근교의 그리니치 천문대에서 측정한 시간을 전신기로 각 기차역에 전달했지요. 이후로 다른 철도 회사도 그리니치 천문대에서 측정한 ‘그리니치 표준시’를 시간 기준으로 정했어요. 덕분에 영국 전역 철도역의 시간이 런던의 시간과 같아졌어요. 40년이 지난 1880년 8월 2일에는 ... ...
- ‘항공샷’ 찍을 헬기, 날려도 됩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인지뉴이티가 가야 할 위치와 이동 시간 등은 지구의 연구팀이 퍼시비어런스를 통해 전달할 거예요. 그러면 퍼시비어런스와 무선으로 연결된 인지뉴이티가 센서와 카메라로 자신의 위치와 속도 등을 파악한 뒤 자율비행하며 이동한답니다 ... ...
- 예술이 된 우주·과학동아천문대 소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입니다. 목성과 토성처럼 거대한 행성은 수십 개의 위성을 갖고 있습니다. 만약 지구도 달과 같은 위성이 1개가 아닌 여러 개라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제12회 별빛미션왕 홍종익 학생의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지구에 3개의 위성이 있다고 상상해 봤어요. 그럼 저는 이 3개의 위성이 충돌로 ... ...
- [탐험대학] 생태, 인공위성, 공룡...집중 탐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미리 파악하고, 우리가 생물에 맞춰서 소리를 기록해야 하죠.”탐험대학 학생들은 한 달 뒤에 모여 소리를 분석하기로 했어요. 자연의 소리는 우리에게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까요? 공룡, 이 뼈는 누구의 뼈일까? “저는 스피노사우루스를 좋아합니다. 티라노사우루스도 이길 수 있기 때문이죠.”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