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포
사격
방출
방사
저격
출산
분만
d라이브러리
"
발사
"(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소나(Sonar)다.소나에는 액티브 소나와 패시브 소나가 있다. 액티브 소나는 음파를
발사
해서 물체에 맞고 돌아오는 것을 계산해 물체의 모양이나 위치, 거리 등을 탐지한다. 패시브 소나는 물체에서 나는 소리를 듣고 분석한다. 현재 최첨단 패시브 소나 기술은 잠수함의 추진체인 프로펠러 소리만 ... ...
유럽의 소형 로켓 ‘베가’
발사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그만큼 소형 로켓으로
발사
할 수 있는 인공위성이 많답니다.로켓전문가들은 베가의
발사
성공으로 소형 로켓 시장에서 미국과 러시아, 유럽이 치열하게 경쟁할 거라고 예측하고 있답니다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나노초의 고에너지 레이저를
발사
하는 동시에 추가로 펨토초 레이저를 금 깔때기에
발사
한다.펨토초 레이저의 강한 전자기장 때문에 금에서 튀어나온 고속의 전자는 연료캡슐 안의 연료와 충돌하게 된다. 그 결과 더 낮은 출력의 에너지로도 점화할 수 있다. 고속 점화 방식을 사용할 경우 필요한 ... ...
[5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무인비행기에 가깝다. 반면 탄도미사일은
발사
시에만 로켓의 힘으로 날아간다.
발사
후에는 자유낙하하는 방식이어서 정확도가 낮지만 많은 양의 폭약을 실어 나를 수 있는 게 특징이다.우리나라는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에 가입한 데다 ‘한미 미사일 양해각서’ 때문에 원칙적으로 사거리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이용해 헤라클레스자리 *구상성단 M13을 향해 1679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신호를
발사
했다. M13까지의 거리는 2만 4000광년으로, 이를 받은 외계인이 보낸 답장을 받을 때까지 4만 8000년을 기다려야 한다.이 메시지는 1679개의 이진수로 이뤄져 있다. 1679가 선택된 이유는 23과 73, 두 소수의 곱이기 때문이다. ... ...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오류 논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11월 6일까지 약 보름간 이뤄졌다. 오페라 팀과 마찬가지로 LHC의 양성자가속기에서
발사
한 중성미자를 검출했다. 실험 기간이 짧아 7개의 중성미자만 검출돼 신뢰성이 약한 게 흠이다. 3년에 걸쳐 이뤄진 오페라는 1만 6000개의 중성미자가 검출됐다.이카루스의 대변인인 카를로 루비아 박사(토륨원전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여기에 맛 들인 천문학자들이 과연 지구의 망원경에 만족할 수 있을까. 2018년경
발사
예정인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활동을 시작하면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도 기대가 크다. 주 반사경의 면적이 허블우주망원경보다 5배나 큰 만큼 더욱 선명한 영상을 보여줄 것이다. 우주비행 기술이 더욱 발달한다면 ... ...
[과학뉴스] 우리나라도 달 탐사 나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빠르면 4년 뒤 우리나라도 달에 가요. 우리나라가 미국과 함께 달을 탐사할 계획이거든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해부터 ‘루너 ... 개발과 위성이 실릴 우주선 일부 제작을, 미국은 우리나라가 맡은 부분을 제외한 우주선 제작 전체와
발사
를 맡을 예정이에요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스위스 우주센터는 세계 최초의 우주쓰레기 청소 위성 ‘클린스페이스원’을 5년 안에
발사
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우주 쓰레기에 접근해 장착된 쇠갈퀴로 쓰레기를 수거하는 이 위성은 2009년과 2010년에 스위스가 쏘아올린 위성 2대를 처리할 예정이다.세계 무역 분쟁의 시작탄소세를 둘러싼 세계 ... ...
기계항공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끌었다. 뿐만 아니라 모든 제품의 디자인 및 설계, 제조를 책임졌다. 이제는 우주
발사
체, 인공위성, 첨단로봇처럼 20년 후 인류의 키워드로 자리잡을 미래의 핵심 산업을 발전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서로 다른 분야의 학문을 융합해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만드는 추세다. 이런 학문의 융합화 추세에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