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 연필과 수학의 필연적 만남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불편했기 때문에 연필심은 둥글게, 몸통은 원이나 팔각형으로 만들기 시작했지요. 19세기에 연필을 주로 사용했던 공학자나 설계사, 목수들은 연필을 오래 쥐어도 손이 아프지 않으면서 책상이나 경사진 설계판에 놓아도 굴러 떨어지지 않는 연필을 원했어요. 그래서 만든 삼각형 연필은 잘 굴러 ... ...
-
- 수학동아 단독 특별전시회, 수학으로 피운 꽃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수학입니다. 규칙성을 찾고 가장 이상적인 균형을 표현하기 위해서죠. 무라야마는 19세기 스코틀랜드의 수학자이자 생물학자인 다아시 톰프슨에게서 영감을 얻었다고 합니다. 톰프슨은 진화를 수학으로 설명하려던 학자지요. 수학의 언어와 법칙이야말로 생물의 다양성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하는 ... ...
-
- 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시공간을 지나면서 휘어져 관측자에게 도달하게 되지요. 그럼 두 별의 빛이 더해져 빛의 세기가 증가해요. 이때 앞쪽별에 행성이 있으면 빛의 증가가 불규칙적으로 일어나요. 연구팀은 이 변화를 분석해 외계행성의 존재를 알아낸답니다. KMTNet은 2015년 운영을 시작한 후로 총 9개의 외계행성을 ... ...
-
- 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수학적 아이디어에 푹 빠져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는 수학자가 하나 있었으니, 20세기 최고의 수학자로 평가받는 독일의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다. 힐베르트는 칸토어의 놀라운 생각을 많은 사람이 알길 바라며 집합론을 공리화하기 시작한다. 그리스 수학자 유클리드가 그랬던 것처럼 몇 가지 ...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범인이 남긴 단서,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쓸 수 있다고 생각하고, 지문을 구별하는 방법을 개발해 1880년 논문으로 출판했답니다. 20세기 초반부터 지문을 이용해 수많은 범인을 잡았어요. 이후 지문 인식 기술은 점점 발전해서 현재는 과학수사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금융 결제, 출입문 관리 등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답니다 ...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문제를 확인할때 사용하는 엑스레이(X-ray)는 감마선의 일종이지요. 한편 방사선의 세기, 혹은 전자기파나 입자의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하는 물질의 성질을 ‘방사능’이라고 한답니다. 음료수가 가득 찬 컵에 한두 방울을 더 떨어뜨려도 음료수는 넘치지 않아요. 대신 표면이 동그란 언덕 모양을 ... ...
-
- 수학의 남북통일은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말했다. 수학 올림피아드 단일팀 가능할까? 수학은 남과 북이 해방된 이후 반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교류가 거의 없었다. 그래서 주요 연구분야가 서로 다르다. 우리나라는 순수수학에 집중한 반면, 북한은 순수수학 분야는 거의 연구하지 않고 전력, 석탄, 금속, 철도운수 같은 현장에서 생기는 ... ...
-
- Part 2. 수학자를 뛰어넘은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않을까 생각했어요. 공리★어떤 명제를 증명하기 위해 전제로 쓰는 기본적인 가정 19세기에 니콜라이 로바쳅스키, 카를 가우스, 보여이 야누시가 평행선 공리가 성립하지 않는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증명하기 전까지, 시대마다 가장 뛰어난 수학자들이 평행선 공리 증명에 도전했어요. 그리고 ... ...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공룡 화석이 발견되면서 과거에 복원한 공룡의 모습이 틀렸다고 밝혀지는 거지요. “19세기 과학자들이 복원한 공룡은 지금의 모습과 달리 꼬리를 땅에 질질 끌고 다녀요. 이 시기의 과학자들은 공룡이 파충류와 비슷하게 생겼을 거라고 추측했거든요. 그런데 1970년대 미국 예일대학교 존 오스트롬 ... ...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에서 유래했다. 구름 속에서 생기는 전기, 번개를 실험하다전기에 대한 연구는 18세기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미국에서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는 벤자민 프랭클린은 1785년 위험천만한 연 실험을 통해 번개가 전기를 방전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프랭클린은 연의 위쪽 끝에 날카로운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