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식"(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개발돼 있다. 고현협 UNIST 에너지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촉각뿐만 아니라 소리도 인식하는 전자피부를 최근 개발했다. 아직은 아날로그 신호를 수집만 할 수 있는 수준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과학기술의 조작에 노출된 기계적 존재임을 증명한다.과연 우리는 인간을 어떤 존재로 인식해야 할까. 지금껏 그랬듯, 기계가 가질 수 없는 인간적 특성을 나열함으로써 인간과 기계가 근본적으로 구분되는 존재라는 걸 또다시 주장해야 할까? 특권 의식 뒤엔 차별과 배제의 역사인간에게 특권적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익숙하게 좋은 자세로 책상 앞에 서게 했다. 몸에는 총 8개의 근전도 센서와 동작을 인식하는 마커 7개가 붙어 있었다. 발의 압력을 체크하는 특수 신발은 덤이었다. 실험을 도와주는 같은 실험실 박정민 연구원(석사 1년)이 기자의 몸에 센서를 붙이는 데만 30분이 넘게 걸렸다.이제는 책상 앞에 서서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인식할 수 있다고 해요. 실제로 이 장치를 사용한 시각장애인 74명 중 69%가 1년 뒤 사물을 인식하는 데 성공했지요. 이 장치는 인공망막에 비해 매우 저렴하면서도 시각장애인을 도울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답니다.인공망막 수술 세계 최초 성공!망막의 역할을 대신하는 인공망막을 만들려면 빛을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위해 투자와 연구에 발 벗고 나서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텔레콤은 지문이나 얼굴, 홍채 인식으로 입력받은 정보를 완전동형암호로 암호화하는 방법을 서울대 수리과학부와 함께 연구하고 있다. 이스트소프트와 코나아이도 서울대와 함께 암호 개발을 하고 있다.삼성전자와 KT는 2013년 완전동형암호를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여러 나라 숫자로 수학시계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지구에는 우리가 주로 쓰는 인도-아라비아 숫자 외에도 다양한 숫자가 있다. 어떤 숫자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것을 이용해 나만의 수학시계를 만들어보자.인도-아라 ... 한다. 수학 역시 성장하기 위해 살아 숨 쉬는 과목이다. 이 수업이 수학의 역사적 가치를 인식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
- [과학뉴스] 몸짓 비슷한 사람끼리 잘 어울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과제를 함께 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움직임이 유사할수록 서로를 잘 맞는다고 인식한다는 뜻이다.연구를 진행한 크라시미라 차네바 아타나소바 교수는 “움직임이 특성을 간파할 수 있는 단서가 될 수 있다”며 “환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넘어가면 ‘그 나이대의 경우라면 당연한 일이다.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식으로 인식이 변한다.진정한 낭만의 문화로 남으려면 “건강 챙기세요~”괴짜 취급은 면했지만 건강엔 적신호가 켜졌다. 이영미 가천대 식품영양학과 교수팀이 서울, 경인 지역 대학생 8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 ...
- [과학뉴스] “ 또 왔니?” 얼굴 기억하는 남극 갈매기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남극 야생조류가 사람을 구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원영 극지연구소 생태과학연구실 선임연구원팀은 남극 갈색도둑갈매기 ...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 연구원은 “불과 세 번 정도밖에 마주치지 않은 사람을 특별히 인식한다는 것은 높은 수준의 인지 능력”이라고 말했다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일이 과연 바람직한지는 고민스러운 대목이다. 합성생물학 연구자들도 이런 위험에 대해 인식하고 있지만, 현재의 제도로 위험이 충분히 통제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예를 들어 생물안보의 위험성에 대한 대비책으로 가장 낮은 위험등급(Biosafety level 1)의 유기체를 사용하고, 책임감을 갖도록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