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DIGST] 곤충처럼 기고 사람처럼 땀 흘리는 자연모사 로봇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리포트’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98-019-51694-9 현재는 그리퍼의 시제품을 개발하고 있다.자연모사 로봇은 지진 현장처럼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재난, 재해 현장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윤 교수팀은 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과 공동으로 재난구조 환경에서 복잡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뱀 ... ...
- 세계경제포럼에서 한판 붙다! 트럼프 VS. 툰베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들어간 돈보다 더 나은 효과를 가져오니 투자라 할 수 있죠. 반면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해서는 누구도 이익을 볼 수 없어요. 삶의 터전을 잃을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경제적 손실은 감히 계산할 수도 없거든요. Q그렇다면 툰베리의 주장에 손을 들어 주시는 건가요?환경운동가 ... ...
- [팩트체크] 새로운 7의 배수 판정법, 기존 방법과 똑같다?!수학동아 l2020년 05호
- 합동식 개념과 7의 배수 판정법 증명을 학원에서 배웠어요. 그 내용을 응용해서 모든 자연수에 대해 판정법을 만들 수 있는지 고민하던 중 수학동아 기사를 보게 됐죠. 그래서 치카의 방법이 기존의 방법과 같다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 용어정리합동 : 모양과 크기가 똑같아 완전히 ... ...
- 도심에서 발견된 여우, 너의 정체는?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분석해 개체의 서식지와 이동 동선을 확인한다. 최소존속개체군 (minimum viable population) : 자연계에서 한 생물집단이 인위적인 개입 없이 멸종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개체 수 ... ...
- [화장실의 변신 ③] 어느 곳에서나 쓸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우리가 쓰는 화장실은 물만 내리면 배설물을 하수처리장까지 전달해 주지만, 상하수도 시설이 없는 나라도 많대. 그곳에서 쓸 수 있는 화장실 ... 미생물 연료전지 기술은 쓰레기에서 자원을 찾아낸다는 데서 매력을 느꼈습니다. 앞으로도 자연과 함께 할 수 있는 일에 도움이 되고 싶어요 ... ...
- 8첩 곤충 반상, 밥상 위로 올라온 곤충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체지방량을 뺀 양)은 4.8% 늘고, 근육량도 3.7% 늘었다. 암세포에 대항하는 면역세포 중 자연살상세포(NK cell)와 암세포의 전이를 막는 세포독성 T세포(Cytotoxic T cell) 활성도 각각 16.9%, 7.5% 늘었다. 곤충 사육 농가는 2015년 724호에서 2018년 2318호로 크게 늘었다. 국립농업과학원은 올해 수벌번데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4화. 방정식의 근과 대칭은 무슨 사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본능 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하나씩 세는 수를 우리는 ‘자연수’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자연수만으로는 표현할 수 있는 수가 너무 제한적이었습니다. ‘사과 1개를 2명이 나눠 먹으면 각자 사과를 얼마나 먹을까?’와 같은 단순한 계산조차 할 수 없었죠. 이는 곧 1/2 같은 ‘유리수’가 등장하며 ... ...
- [화장실의 변신 ④] 화장실이 돈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제주 앞바다에 사는 남방큰돌고래의 터전이 훼손된 거예요. 바다를 지키기 위해서는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화장실이 필수예요. 이게 바로 똥본위화폐 프로젝트에 참여한 이유지요. 그래서 핫핑크돌핀스 사무실의 화장실에는 양동이와 톱밥, 두 가지가 전부예요. 양동이에 배변을 하고 톱밥으로 ... ...
- [통합과학 교과서]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배설물까지 다양하지요. 화석을 조사하면 과거에 살았던 다양한 생물들의 생활 모습이나 자연환경, 생물의 모습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알 수 있어요. 현재는 멸종되어 없지만, 화석을 통해 오래전 지구에 공룡이 살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처럼 말이에요.과거의 모든 생물이 화석이 되는 것은 ... ...
- [오일러 프로젝트] 200만 이하 소수의 합은 얼마일까? 블랙 위도우수학동아 l2020년 04호
- 개수가 3개 이상인 합성수를 체로 거르듯 지워나가 소수만 남기는 방법입니다. 여기서는 자연수 2부터 10에서 소수만 얻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수학자들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소수를 찾고, 그 사이에서 규칙을 알아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규칙을 알면 모든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