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확증
증언
증거
뒷바침
지지
원조
지원
뉴스
"
뒷받침
"(으)로 총 1,16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침팬지보다 인간의 뇌가 3배 더 큰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8.06.10
뇌보다 3배 가량 더 큰 것과 관련이 있다”며 “‘적은 것이 더 많다(less is more)’ 가설을
뒷받침
한다”고 밝혔다. 이 가설은 ‘기능을 하는 요소가 적을 때 오히려 그 기능이 발달된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특정 기능을 잃어버림으로써 오히려 인간의 뇌가 더 커졌다”고 밝혔다 ... ...
알프스산에서 2억 4000만년전 도마뱀 조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31
화석 증거 중 가장 오래된 것은 1억 6800만 년 전 중생대 쥬라기 때의 것이었다. 추정을
뒷받침
할 화석 증거를 찾지 못 해 왔던 것이다. 그런데 최근 이탈리아 알프스산에서 발견된 화석이 트라이아스기 때 살았던 이궁류 파충류의 것으로 확인됐다. 비늘동물의 진화 과정 중 7000만 년의 공백을 ... ...
화마에서 소방관 지켜라…서울대, 화염시험 시설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5.11
서울 관악소방서 남기범 장비회계팀장은 “연구 결과가 현장에 적용되려면 제도적
뒷받침
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 역시 “국내에서도 완제품 상태에서의 성능 평가가 의무화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교수는 “손 부위는 기존 전신 화염 마네킹에서도 간과했던 ... ...
과학 학술지 '네이처' 최초 여성 편집장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8.05.04
자체 인터뷰에서 “빅데이터 시대를 맞아 과학적 발견이 보다 탄탄해질 수 있게
뒷받침
하겠다”며 “네이처를 신진 과학자에게 좀 더 관심을 갖는 학술지로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학술지 편집 입문 전에는 정통 유전학자였다. 영국 노팅엄대를 졸업한 뒤 케임브리지대 ... ...
우리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인 이유, 뇌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는 라틴어로 ‘지혜가 있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이름 뜻 그대로 호모 사피엔스가 뇌 구조의 차이로 네안데르탈인보다 더 지혜로 ... 큰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오기하라 교수팀의 연구는 이 같은 가설을
뒷받침
할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 ...
ETRI, 트래픽 정체 해소하는 초고속 광수신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25
것으로 예측하는 이유다 이에 대비하려면 광전송을 가능케 하는 광수신기의 성능이
뒷받침
돼야 한다. 연구팀은 단위 용량 당 데이터 전송량을 기존 100Gbps에서 4배 이상인 400GPS로 끌어올린 수신기를 내놓았다. 연구팀은 신호를 보내기 위해 2단 변조방식 대신 차세대 고효율 전송방식인 4단 ... ...
용암이 만든 절경....유네스코 세계유산 ‘자이언트 코스웨이’은 어떻게 생겨났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4.12
생겨 주상절리 모양이 생기는지 등이 논란이 됐다”며 “(이번 연구는) 후자의 결론을
뒷받침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 연구자인 리버풀대 화산학과 재키 켄드릭 박사후연구원은 “(용암 온도가)약 800도 근처에서 기하학적 특징을 결정짓는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는 것”이라며 “유체 흐름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나이에 따라 급격히 줄어드는 과정이 그럼처럼 전개되고 있다. 게다가 사람의 결과를
뒷받침
하기 위해 영장류인 붉은털원숭이를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했고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즉 사람보다는 감소폭이 덜하지만 나이가 듦에 따라 성체 신경생성 능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왔다. ... ...
현생인류의 아라비아 반도 진출 시기 최소 8만5000년 전
동아사이언스
l
2018.04.10
확산한 시점도 6만 년보다 훨씬 빨랐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이번 연구는 이 가설을
뒷받침
하는 결정적인 증거가 됐다. 인류가 아프리카를 벗어난 제2의 경로도 새롭게 제기됐다. 기존에 알려져 있던 레반트 지역을 통한 이주 외에, 아라비아반도 남부의 홍해를 건너갔을 가능성이다. 또 ... ...
길이 25m '초거대어룡' 실존했나...화석 새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4.10
여부를 둘러싼 논쟁은 지난 150여 년 동안 끊이지 않았다. 최근 초거대어룡의 존재를
뒷받침
하는 새로운 화석이 발견됐다. 영국 맨체스터대 지구과학과 딘 로막스 박사팀은 2년 전 발견된 화석이 중생대 바다에 살았던 약 25m 크기의 초거대어룡의 것임을 확인, 9일(현지시각) 학술지 'PLoS one'에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