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재
light
불빛
광
빛
전등
화난
뉴스
"
불
"(으)로 총 1,4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변화되는 유형뿐이었다. 그런데 레이어드 라테 현상을 이용하면 구멍 크기가
불
연속적으로 바뀌는 계단식 아가로스 젤을 만들 수 있다. 연구자들은 아가로스를 4% 함유한 용액을 밀도가 높은 소금물에 부어 레이어드 액체를 만든 뒤 이를 식혀 굳힌 멀티레이어드 아가로스 젤을 얻었다. ... ...
[짬짜면 과학 교실] 그믐과 보름
2017.12.30
곤두박질친다니 그곳에서는 어떤 생명체도 살 수 없습니다. 지구에 비해 109배나 큰
불
덩이 태양은 말할 것도 없지요. 그러니 지구가 겨울엔 꽤 춥고 여름엔 무척 더워도 다른 별에 비하면 이만한 곳은 없습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과학 지식으로는 말이죠. 과연 지구의 환경과 비슷한 ... ...
터널 화재 초기 진압 신기술 개발
과학동아
l
2017.12.26
효율을 높였다.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터널이나 철도, 지하 등 반밀폐 공간에서
불
이 나면 훨씬 위험하다. 고온의 열기와 유독가스, 완전히 연소되지 않은 분진 등이 공간 내에서 피해를 가중시키기 때문이다. 2017년 12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연구팀은 압축공기포와 거품의 ... ...
[짬짜면 과학 교실] 숲이 우선일까? 나무가 우선일까?
2017.12.23
톱날에 희생되니 어미 나무에게 마음이 있다면 한없이 슬프겠습니다. 그래서 바람이
불
때마다 큰 나무들은 사락사락 나뭇잎을 흔들며 옷소매로 눈물을 훔치는 소리를 내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베여 쓰러진 나무들은 미생물들의 양분이 되어 세월과 함께 천천히 분해되기도 하지만, 더러는 ... ...
[과학&기술의 최전선] 병든 세포 실시간 추적으로 암 조기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밝고 선명하게 볼 수 있다.
불
을 켜듯 표적 세포를 밝혀 준다는 데서 ‘나노램프’로도
불
린다. 침습적 조직 검사 없이도 몸속 깊숙한 곳에 있는 소량의 암세포까지 쉽게 찾을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또 입자 크기가 작은 만큼 세포에 잘 흡수되고 부피 대비 표면적이 넓은 ... ...
제천 화재, 단열재 스티로폼이 ‘플래시 오버’ 앞당겨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글라스울과 미네랄울을 쓴다”며 “우리나라도 화재가 일어났을 때 피해를 줄이기 위해
불
에 타지 않는 단열재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어제 열린 행정안전부와 국토교통부의 '건축물 단열재 시공 및 관리 실태에 대한 안전감찰 결과 및 부실시공 방지대책' 발표에서 박승기 ... ...
35억년 전 생명 탄생 증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주장하는 프랜시스 웨스톨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연구원은 “대개 미화석은
불
규칙한 무늬를 보이는데 도드 화석의 무늬는 규칙적이다”라며 “생명체 탄생이 35억 년 이전이라고는 생각되지만 그 흔적이 남아 있을 가능성은 아주 작다”고 말했다. 한편, 생명체가 35억 년 전에 있었음이 ... ...
[카드뉴스] 자존감에 집착하지 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조금이라도 인정하지 않으면
불
같이 화를 냅니다. 이처럼 억지로 쌓은 자존감은 늘
불
안합니다. 자존감을 지키기에 급급하며 작은 좌절만으로도 쉽게 무너지고 한번 자존감이 무너지면 주위를 공격하고 괴롭힙니다. 따라서 자존감의 높낮이를 신경 쓰기보다는 자존감을 건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 ...
내 아이에게 맞는 코딩 장난감 찾아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뜻의 빨간색
불
이 들어오지요. 이밖에도 기분이 좋을 때는 하늘색, 슬플 때는 파란색
불
이 들어옵니다. 구성품에는 6가지 색의 컬러펜이 들어 있습니다. 검은색 펜으로 선을 그리면 코딩펫의 길이 만들어집니다. 길을 따라가던 코딩펫은 다양한 색깔의 펜으로 칠한 마크를 인식해 방향을 바꿉니다. ... ...
수도권 큰 눈 어디서 왔을까? 서해 수증기가 근원
동아사이언스
l
2017.12.18
예보했다. 20일부터 서서히 다시 눈이 내리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역시 서쪽에서
불
어오는 바람에 실려 오는 눈구름인 만큼 강원 영서를 포함한 중부 지역과 전라도 지역에 눈을 뿌릴 가능성이 높다. 21일에는 경상도를 제외한 전국에 눈 또는 비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 크리스마스(25일)를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