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뉴스
"
장치
"(으)로 총 4,19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확진자 4만342명 일요일 12주만에 최다…18일부터 50대 이상 4차 접종
동아사이언스
l
2022.07.17
사망자는 2만4742명으로 코로나19 누적 치명률은 0.13%로 나타났다. 인공호흡기나 인공심폐
장치
(에크모) 등 기계에 호흡을 의존해야 하는 위중증 환자는 전날 70명보다 1명 늘어난 71명이다.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은 전국 1429개 중 197개가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나 가동률은 13.8%로 전날 13.2%보다 0.6%P ... ...
[주말N수학]스파게티 면이 잘 익었는지 확인하는 과학적 방법
수학동아
l
2022.07.16
탄성 모세관 현상이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면발들 사이의 간격을 5㎜로 고정하는
장치
를 3D프린터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조리시간에 따라 면발이 얼마나 팽창하는지, 두 면발이 얼마나 붙는지 확인했습니다. 그 결과 반지름이 1㎜인 스파게티 면을 30분 동안 물에 삶으니 1.7㎜까지 반지름이 ... ...
격렬하게 나무 쪼는 딱따구리 머리는 안전 헬멧 아닌 망치
연합뉴스
l
2022.07.15
그는 "동물원에서 딱따구리를 촬영하면서 부모들이 자녀에게 딱따구리는 뇌에 충격흡수
장치
가 있어 머리가 아프지 않다고 설명하는 것을 봤다"면서 "이런 근거없는 믿음은 우리가 밝혀낸 결과로 파멸하고 말았다"고 했다. 연구팀은 진화적 관점에서 딱따구리가 왜 더 큰 머리와 강한 목 근육을 ... ...
제임스웹 이을 차세대 우주망원경 도전 과제는 암흑에너지와 우주 전체 촬영
동아사이언스
l
2022.07.15
것인데 2011년 기증받은 것이다. 항성의 빛을 가리며 주변에 있는 희미한 빛을 측정하는
장치
인 코로나그래프계측기(CGI) 등 우주 관측에 필요한 부품을 장착하며 연구용으로 개조됐다. 거울의 지름은 2.4m로 허블과 같지만 광시야계측기가 달려있어 3억픽셀의 고해상도 사진 촬영이 가능해졌다. ... ...
조선 물시계 ‘자격루’ 계절마다 다른 밤시간 정확히 알려준 비밀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4
구성된다. 주전시스템 복원에는 지난해 서울 인사동에서 출토된 동판과 구슬방출
장치
유물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조선시대에서는 하루 12시(時)를 알려주는 정시법을 사용했다. 그러나 밤 시간이 되면 그 길이를 5등분해 5경(更)을 만들고 경(更)마다 다시 5등분한 점(點)을 만들어 사용했다. ... ...
[제임스웹 첫 영상 공개]제임스웹의 후속 우주망원경들
과학동아
l
2022.07.12
연구용으로 개조됐다. CGI는 항성의 빛을 가리며 주변에 있는 희미한 빛을 측정하는
장치
다. 이렇게 탄생한 것이 ‘적외선광각우주망원경(WFIRST)’이다. WFIRST는 허블우주망원경의 단점을 완벽하게 보완할 수 있도록 뛰어난 분해능과 넓은 시야를 동시에 갖췄다. 거울의 지름은 2.4m로 허블과 같지만 ... ...
방사선 노출량 30% 줄이는 X선 부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가능하다”며 “향후 앰뷸런스나 군부대, 이동형 보건소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X선
장치
에 적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ACS)가 펴내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최신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 ...
웹 망원경 돕는 유도센서 이미지마저 "가장 깊은 우주" 포착
연합뉴스
l
2022.07.08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결과물이라고 한다. FGS는 망원경의 정밀 과학장비나 이미지
장치
가 특정 목표물을 정확히 잡을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본래 역할이지만 이 과정에서 이미지도 생성한다. 다만 웹 망원경이 배치된 150만㎞ 밖 '제2라그랑주점'(L2)과의 통신 대역폭이 제한돼 과학 관측 자료를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자피부 활용 기하학적 고신축성 기판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고안정성 기판을 제작했다. 스마트폰 화면을 늘리거나 크기를 줄이는 신축성 있는 전자
장치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이창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인간 세포 속에서 지질을 운반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발견했다고 7일 밝혔다. ‘MIGA2(Mitoguardin2)’ 단백질이 ... ...
폭염에 바다 수온 평년보다 1.7도 높아…고수온 피해 주의
연합뉴스
l
2022.07.05
우려가 있다며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해수부는 10개 지자체에 산소공급기, 저층수 공급
장치
, 차광막 등을 지원하고, 고수온 주의보가 내려지면 고수온 대응 종합상황실을 운영하는 등 상황관리에 나설 계획이다.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