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의 수채화 성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미국의 천체관측자로 암흑 성운의 목록을 만들었다. 그는 자신의 주특기인 천체사진
기술
을 이용해 은하수 사진집을 내기도 했는데, 특히 은하수 여기저기에 나타나는 암흑영역에 관심이 많았다. 바나드는 이러한 암흑영역이 텅 빈 공간이 아니라 별빛을 가로막는 물질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 ...
19세기의 유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패러데이(1791-1867)의 전자기유도법칙을 이용해 발전기들이 개발됐다. 이 결과 전신
기술
, 전기도금법, 전동기, 발전기, 전기차, 전구, 전기를 공급하는 발전소 등이 쏟아져 나왔다. 이때 최고의 스타는 1천3백여개의 특허를 냈던 발명왕 에디슨(1847-1931)이었다.19세기 물리학은 원자나 분자 단계에서 ... ...
② 네티즌과 즐기는 신나는 게임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예나 지금이나 컴퓨터와 가장 빨리 친숙해지는 길은 게임을 하는 것이다. 게임은 컴퓨터의 특성은 물론 최근 발전하고 있는 신
기술
을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네티즌 ...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런 게임을 PC에서 즐길 수 있다는 것은 에뮬레이터
기술
발전이 가져다 준 크나큰 선물이다 ... ...
④ 각광받는 미래에너지 수소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수소는 연소하기 쉬운 기체로 공기나 산소와 접촉하면 쉬이 불이 붙는다. 수소-공기 혼합기체는 불꽃을 튀겨주면 조건에 따라 폭발적인 연소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 연료전지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연료전지 발전
기술
은 가장 확실한 차세대 발전
기술
이 되리라는 전망이다 ... ...
나만의 비밀번호 생체인식시스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음성인식시스템은 1945년 미국의 벨 연구소가 성문(sound spectrum)기록
기술
을 개발한 이래 온라인 원격접속이나 폰뱅킹에 상용화됐다. 기본 알고리즘은 약속된 단어를 발음하면 음성정보가 디지털화되면서 1백분의 1초 길이로 잘라져 원래의 정보와 비교되는 것.다른 것과 ... ...
20세기 물리학 혁명의 출발점 X선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뢴트겐은 X선 발생장치로 특허를 받을 수도 있었지만 돈에 별로 욕심이 없어 모든
기술
을 공개했다. X선 장치들이 급속하게 실용화된 것은 이 때문이다.당시 뢴트겐이 발견했던 현상을 미리 목격하고도 행운을 잡지 못했던 사람이 여럿 있었다. 옥스퍼드대학에서 크룩스 방전관으로 연구를 하고 ... ...
③ 잠을 흉내내는
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수 있을지는 누구도 장담하지 못한다. 이들은 2030년쯤 해동되기로 계획돼 있지만 아직
기술
진보의 수준을 가늠하기 어려울뿐만 아니라, 이들을 동결시킨 현재의 냉동 방식에 문제가 있을 경우 세포가 이미 회복불능으로 파괴됐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과연 냉동인간들은 살아날 것인가. 미래의 ... ...
한국 최초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기술
이 사장될까 걱정하고 있다. 이씨는 앞으로 1년 정도 더 소행성관측에 매달려 관측
기술
을 숙달한 다 음 혜성탐색에 도전해 자신의 이름이 붙은 혜성을 발견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소행성은 화성과 목성 사이의 궤도에 수십만개가 흩어져 있다. 대부분은 크기가 수km에 지나지 않으나 가장 큰 ... ...
젓갈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버리지 않고 소금에 절여 발효하는 것이 습관화된 것이다. 동남아에서는 수산발효
기술
이 주로 어간장을 만드는 것으로 발달한다. 기온이 높은 동남아 지역에서는 생선에 소금을 뿌리면 곧 액체의 장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그러나 전통적으로 간장과 된장을 먹는 우리나라에서는 어간장을 만드는 ... ...
속시원하게 뻥 뚫어주는 인터넷 고속 서비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02-721-7610-3)가 12월부터 새로운 대학입시제도에 맞춰 '경시수학교실'을 개설한다. 한국과학
기술
원(KAIST) 수학문제연구회와 공동으로 마련한 경시 수학교실은 한 과목만 잘해도 명문대에 입학할 수 있는 새로운 입시제도에 대비한 인터넷 서비스다. 초·중·고교생 가운데 수학에 취미나 특기가 있는 ... ...
이전
891
892
893
894
895
896
897
898
8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