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10,105건 검색되었습니다.
셜록도 혹한 ‘미생물 포렌식’을 아시나요?
2015.05.15
수 있다는 내용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1일 자에 발표했다. 프랜조사 박사는 “
실험
에 참가한 242명 중 80%는 1년 전에 채취한 미생물 조성 표본만으로 신원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콘돔을 사용한 성범죄 등 정액에서 DNA를 채취해 용의자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미생물로 ... ...
깨끗한 수돗물이 퐁퐁~! K-water 성남 정수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5.14
투명하게 변해요. 물이 깨끗해지는 과정은 크게 ‘흡착’과 ‘여과’로 나뉘는데, 이
실험
에서는 흡착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기자단 친구들은 박사님을 따라 콜라에 활성탄을 넣었어요. 그리고 먹물처럼 까맣게 변한 콜라를 거름종이에 부었지요. 잠시 뒤 비커에 투명한 물만 흘러 내려오자 ... ...
韓 연구진 “힉스 이후 최대 성과” 수확에 기여
2015.05.14
물질로 붕괴할 것으로 예측해왔지만, 그 가능성이 10억 분의 4 정도로 매우 낮아 지금까지
실험
으로 증명하기는 어려웠다. 연구팀은 이 붕괴 반응을 6시그마(99.9999998%)의 정확도로 확인했다. 이는 2013년 힉스의 존재를 확인한 5시그마보다 더 명료한 결과다. 특히 B중간자가 붕괴해 만들어진 2개의 뮤온 ... ...
‘앵그리버드’의 몸은 왜 빨간색일까
2015.05.13
화가 났거나 공격적으로 보이는 정도를 1~7의 숫자로 점수를 매기게 했다. 그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남성이 빨간색 옷을 입었을 때 가장 위협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스포츠팀이 빨간색 유니폼을 입을 때 더욱 공격적으로 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 ...
수화 알아듣는 스마트 장갑
2015.05.13
이태윤 전기전자공학과 교수와 이슬아 연구원. - 연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스타킹처럼 늘어나면서 센서 역할까지 할 수 있는 전도성 섬유를 개발했다. 이태윤 연 ... 장갑에 적용한 모습. 손가락이 구부러지는 것을 인식해서 수화 알파벳을 인식하는
실험
에도 성공했다. - 연세대 제공 ... ...
쌀겨 추출물서 면역증강물질 찾았다
2015.05.13
실험
용 쥐에게 4주간 쌀겨에서 추출한 당단백을 먹인 뒤 면역억제제를 투여하는
실험
을 진행했다. 그 결과 미강추출물을 먹은 쥐는 면역력이 저하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됐다. 반대로 미강을 먹지 않은 쥐는 면역력이 크게 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성과가 항암 치료 시 ... ...
뇌 기능 모방해 생각 읽어내는 하드웨어
2015.05.12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피
실험
자 뇌파의 특징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피
실험
자의 머리에 전극을 부착하고 ‘아’ ‘이’ ‘우’ 3개 발음을 상상하게 하면(a) 각 발음마다 뇌파 특징이 나타난다(b). 이를 숫자 0과 1로 구성된 2진 코드(c)로 전환해 하드웨어 신경망의 입력값으로 ... ...
20살 하나로 원자로…한국 연구용 원자로 기술 산 증인
2015.05.12
목적을 갖고 설치된다. 원자로에서 쏟아져 나오는 중성자를 이용해 각종 물질 분석
실험
을 할 때는 냉중성자 연구용으로,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이 장기인 원자로는 동위원소 생산에 특화돼 있다. 우리나라는 역발상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원자로의 출력을 높이고, 여러 가지 연구시설을 ... ...
인공 빛이 당신을 살찌게 만든다
2015.05.12
체지방이 1g 정도였지만, 24시간 내내 빛을 받은 그룹은 1.5g 이상이었다. 연구팀은 추가
실험
을 통해 하루 종일 빛을 쪼인 그룹의 체중과 체지방이 증가한 원인도 밝혀냈다. 몸속에서 지방산과 포도당 등 영양소를 열에너지로 바꾸는 에너지 변환율이 감소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로키아케움 발견과 추후 이어질 원핵생물 다양성의 발견은 진핵세포 기원 연구가 이제
실험
실에서 ‘검증할 수 있는 과학(testable science)’의 영역으로 들어가고 있다는 전망을 갖게 한다”고 평가했다. 학술지 ‘사이언스’는 매년 마지막호에 ‘올해의 10대 연구성과’를 발표한다. 필자 생각에 ... ...
이전
891
892
893
894
895
896
897
898
8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