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1"(으)로 총 10,0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동아사이언스 l2016.07.10
- 표지는 가오리를 모방해 만든 초소형 ‘가오리 로봇’이 장식했다. 실제 가오리 크기의 10분의 1(무게 10g, 몸통 너비 16㎜)로 만든 이 로봇은 청색광(光) 자극으로 근육을 조종해 움직일 수 있는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이다. 한국인 과학자인 박성진 미국 하버드대 위스생물공학연구소 ... ...
- "과학기술의 미래, 기초 연구에 달렸다"IBS l2016.07.05
- 수상에 대한 한국인들의 지대한 관심에 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지난해 미국은 노벨상 11개를 수상했는데 그중 3개는 당장의 성과가 아닌 오래전 연구 결과였다. 또 미국에서 배출한 역대 노벨상 수상자들을 보면, 300명 중 100명은 해외에서 태어난 연구자들"이라며 기초과학분야 꾸준한 투자와 ...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2016.07.04
- 현상이다. 반면 멘델은 유전이 불연속적인 단위로 이뤄진다는 가정을 함으로써 잡종 1세대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처럼 보이는 형질이 그 다음 세대에 다시 나타나는 현상을 멋지게 설명했다. 20세기 중반 들어 유전자의 실체가 명확해지면서 멘델이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건 어쩌면 당연한 ... ...
- 나노과학의 대가, 세계 최고를 꿈꾼다IBS l2016.07.04
- 개발에 성공, 관련 연구성과를 2007년 독일화학회지, 2010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011년 미국화학회지에 게재했다. 더 나아가 나노물질로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응용연구도 진행했다. 즉 나노입자를 MRI 조영제나 형광이미징에 활용하는 동시에, 다공성 나노구조물을 치료약물전달체로 ... ...
- ‘에이즈 1위’ 국가가 벌이는 ‘에이즈와의 전쟁’동아사이언스 l2016.07.03
- 574만 원)였는데, 캠페인 동안 매년 12억 달러(약 1조3776억 원)를 투입해 2015년 100달러(약 11만4800원) 수준까지 낮췄다. 부자들만 먹을 수 있었던 치료약을 일반 대중도 먹을 수 있게 된 것이다. UNAIDS 등에서 매년 들어오는 300만 달러(약 34억4400만 원)에 이르는 해외 원조도 큰 도움이 됐다. ... ...
- 소수성-친수성, 두 가지 성질 동시에 갖는 신소재 개발2016.07.03
- 이루는 원자의 개수가 달라 잘 맞아떨어지지 않고 3.2㎚(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간격의 굴곡이 생겼다. 연구팀은 여기에 고압 전류를 흘려 표면의 굴곡이 사라지는 현상을 이용해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표면이 소수성이지만 전류가 흘러 표면이 매끄러워지면 친수성으로 바뀌는 물질을 ... ...
-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2016.06.27
- 정도를 뜻하는지는 모름)이 넘는 범위에서 백홍 네 개가 관측됐다. (‘신당서’) “886년 11월 밤 서쪽 하늘에서 백홍이 관측됐다.” (‘신당서’) 그런데 흰색(백색광) 오로라도 있나? 보통 오로라는 녹색 아닌가? 이에 대해 저자들은 먼저 중저위도 지역에서 관측한 오로라는 고위도의 오로라에 비해 ...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2016.06.20
- 호빗의 역사를 무려 70만 년 가까이 끌어올릴 발굴을 지켜볼 기쁨을 안겨주기 위해 고작 1년의 시간조차 유예해주지 않은 자연의 무정함이 새삼 서글프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2016.06.13
- 위기를 극복(또는 완화)하는데도 아이러니하게도 새로운 재료, 즉 화합물이 필요하다. 21세기는 재료과학의 시대라는 말도 있지만 고효율의 태양전지 등 환경친화적인 인프라가 갖춰지려면 이를 뒷받침할 새로운 물성을 지닌 화합물이 나와야 한다. 원시 사회로 돌아갈 생각이 아니라면 지금보다 ... ...
- 어디서 홈런이 더 잘 나올까?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6.08
- 치러진 경기는 12번, 단순 산술적으로 홈런이 나오는 개수가 고척 스카이돔에서는 1경기에 0.583개, 다른 경기장에서는 0.667개가 나온다는 계산이다. 앞으로 넥센 선수들이 새로운 구장에 얼마나 적응하느냐에 달려있지만, 현재까지 홈런에 있어서 '고척돔 효과'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게다가 높게 ... ...
이전891892893894895896897898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