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나미 지난 7월 예견 - 정부 외면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알류산 열도 근해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수천km 떨어진 하와이에 쓰나미가 몰아닥쳐
큰
피해를 입은 이후 설립됐다. 규모 7.8의 지진이 발생한 뒤 5시간 뒤에 하와이를 덮친 해일은 159명의 목숨을 앗아갔다.1948년 설립된 경보센터는 그 뒤 지금까지 태평양에서 다섯차례 발생한 대형 쓰나미 모두에 대해 ... ...
풍력, 제2의 벤처 바람 몰고 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단언한다.풍력은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율 1위라는 불명예스런 타이틀에서 벗어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 영덕풍력단지가 가동될 경우 연간 9만3600t의 이산화탄소가 감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런 추세라면 국내에서도 더 이상 IT 벤처 갑부들이 아니라 풍력발전 벤처 기업들이 1000억대 갑부 반열에 ... ...
1. 진화 고속으로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만들어지게 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갖고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목축업의 비중이
큰
유럽이나 중동 사람들이 성인이 돼서도 우유를 잘 마시는 것은 이 유전자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펠토넨 교수는 “이 돌연변이는 아마도 우연히 일어났을 것”이라며 “우유에서 영양을 섭취할 수 ... ...
까마귀 지능, 침팬지와 막상막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꼬리를 내렸다. 태주가 조필을 순순히 인정하는 것과 똑같은 행동이다.연구자들은 “
큰
무리를 이루는 동물일수록 구성원을 알아보고 상호관계를 추론하는 인지능력이 향상되는 방향으로 진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는 피뇬 제이를 통해 복잡한 사회가 인지능력의 진화에 결정적 ... ...
새 산맥지도, 분수계와 산맥을 혼동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대동여지도의 산줄기는 분수계를 표시한 것이며, 옛 지리서인 ‘산경표’는 우리나라의
큰
강 10개를 중심으로 그 강들의 유역분지를 나누는 분수계를 족보식으로 서술한 것이다. 지리학을 전공한 필자로서도 우리 조상들의 국토에 대한 탁월한 인식체계라고 생각한다.김영표 박사는 자신의 ... ...
전기의 웰빙선언, 직류로 돌아가자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주파수의 송전을 검토 중이다.송전을 처음 시도했던 20세기 초 직류 송전이 기술적으로
큰
문제를 갖고 있었을 때 테슬라라는 천재가 교류 송전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한 세기가 지난 지금 기술이 발전돼 직류 송전이 가능해지면서 교류의 한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죽기 전 자신의 연구 노트를 모두 ... ...
서양 200년 앞선 세계 최고의 배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설명한다.또 신안선은 바닷물에 닿는 부분을 감싸는 포판재를 이용해 목선의 가장
큰
약점인 바다벌레의 공격을 막았다. 김 실장은 “신안선은 나무 판들이 서로 엇갈려 맞춰져 있는 등 현대 조선에 사용된 기술이 도입돼 있다”고 말했다.신안선은 1975년 5월 어부의 그물에 배에 실려 있던 도자기가 ... ...
한국 드디어 로봇 르네상스 열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되기 위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는 한국 시장에서 저가형 청소로봇이
큰
인기를 모으며 ‘생활 로봇의 원년’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그동안 LG전자, 일렉트로룩스(스웨덴) 등이 선보인 청소로봇은 200만원이 넘는 비싼 가격 때문에 대중화되기는 어려웠다. 미국 아이로봇사가 2년전 20 ... ...
슈퍼컴퓨터로 우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이름이 붙어 있다.박 교수팀은 최근 SDSS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슬론 장성’보다 더
큰
32억 광년 길이의 거대한 장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내기도 했다. 새로운 우주 모형 필요할 듯우리는 흔히 눈에 보이는 물질이 전부인 것처럼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실제로 우주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 ...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이유는 난치병 환자들을 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보건원 내에서 가장
큰
건물인 의학연구센터(CRC)에는 현재 연구와 치료목적의 병상 242여개가 마련돼 있다.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 난치병 환자들은 누구나 소정의 심사를 통과하면 이 병동에 머무를 수 있다. 환자는 원하는 만큼 ... ...
이전
892
893
894
895
896
897
898
899
9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