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나라는 밤하늘 어디쯤 있을까과학동아 l2005년 02호
- 낮 12시(정확히는 12시 30분)가 되면 태양은 정남에 온다. 하늘의 한반도 지키는 6등성큰 그림에서 본다면, 밤하늘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거대한 구다. 지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표면의 한 지점은 밤하늘의 한 지점과 일대일 대응이 가능하다. 지구중심에 백열전구가 있고 지구 표면을 밤하늘이라는 ... ...
- 로터리 엔진 vs 피스톤 엔진과학동아 l2005년 02호
- 않았다. 석유파동으로 기름값이 오르자 연료를 많이 소모하는 로터리 엔진은 자연히 큰 타격을 받았다.결국 로터리 엔진을 장착한 Ro 80은 1977년을 마지막으로 자동차 시장에서 사라졌다. NSU 모터의 미숙한 대응과 석유파동 등 정세 변화로 가볍고 조용한 로터리 엔진 자가용 시대의 도래는 실현되지 ... ...
- 손목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이유 - 손목뼈과학동아 l2005년 02호
- 손목뼈는 8개의 뼈로 이뤄져 있다. 각 뼈의 이름은 손배뼈, 반달뼈, 세모뼈, 콩알뼈, 큰마름뼈, 작은마름뼈, 알머리뼈, 갈고리뼈다.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손배뼈는 배(ship), 콩알뼈는 콩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의대 학생들은 8개 손목뼈의 영문 이름까지 모두 외워야 하기 때문에 영문의 앞 ... ...
- 5. 예술과 철학을 뒤흔든 상대성 이론과학동아 l2005년 01호
- 노력이 벌써 초끈이론으로 그 모습을 들어내고 있다. 아인슈타인은 21세기에도 큰 변화를 주도하는 힘이 될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상대성이론 탄생 100주년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특수상대론 쉽고, 일반상대론 어려워 3. 3·5·6월 3연타석 ... ...
-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과학동아 l2005년 01호
- 사변적인 이론에 그칠 것이라는 비난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21세기 끈이론의 가장 큰 특징은 실험적 검증 가능성이 보인다는 것이다. 한 예로 2007년 스위스 입자물리가속기연구소(CERN)에 완공될 초대형가속기에는 미니 블랙홀을 만드는 실험이 현재 제안돼 있다. 미니 블랙홀이야말로 초끈이론의 ...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과학동아 l2005년 01호
- 진화의 과정에서 각각 어떤 유전자를 얻었고 잃었는지를 알게 돼 그 기능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한편 적색들닭 외에 현재 사육되는 3가지 품종의 게놈 일부도 해독됐다. 야생동물이 가축화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게놈 상의 변화를 추적해보는 최초의 시도였다. 3가지 품종은 브로일러 ... ...
- 정신병은 어떻게 치료할까과학동아 l2005년 01호
-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자제심을 회복하도록 유도한 투크의 인도적 치료법은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정신이상자를 사납게 날뛰는 광적인 동물처럼 보던 사람들이 점점 정신이상자를 정신적으로 혼란에 빠져 보호와 인도가 필요한 어린아이로 바라보는 시각을 갖기 시작한 것이다.그 후 ... ...
- 얼굴인식 메커니즘 밝혀져과학동아 l2005년 01호
- 점은 같지만 전자는 동일 인물로 간주되고 후자는 다른 사람으로 인식된다는 것이 큰 차이점이다.fMRI를 분석한 결과 뇌의 뒤쪽에 있는 ‘아래뒤통수이랑’이 얼굴 쌍의 물리적 차이가 있을 때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첫번째 쌍과 세번째 쌍의 경우인데, 이 영역이 얼굴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 ...
-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과학동아 l2005년 01호
- 굽는다.굽은 고무판 위에 작은 구슬을 굴리면 그 구슬이 굽은 면을 따라 굴러가듯이 큰 별 주위에서는 별의 중력에 의해 물체가 끌려간다.굽은 시공간에서는 어떤 물체도 예외일 수 없다. 빛도 마찬가지다. 이 말은 빛이 직선으로 진행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다. 빛은 직선으로 진행한다. 다만 빛이 ...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과학동아 l2005년 01호
- 윌 교수에 따르면 위성에서는 하루에 7밀리초(1ms=1000분의 1초)씩 시간이 느려진다.더 큰 문제는 중력이다. 위성은 지표면에서 2만km 높이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중력이 표면의 1/4에 불과하다. 중력이 약한 곳에서는 시간이 빨리 간다(실제로는 외부 관찰자가 볼 때 시간이 빨리 가는 것처럼 보인다). ... ...
이전8948958968978988999009019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