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500년 역사서 ‘실록’ 보존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5년 07호
- 20~23%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가장 심한 것은 거의 10분의 1 수준인 11%였습니다(세종실록 일부). 종이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게 신기할 정도죠. 밀랍을 쓰지 않은 종이가 50~60%수준인 걸 볼 때 밀랍본의 종이 조직 손상은 그만큼 심했습니다. 산화와 습기에 의한 분해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계속 보시려면?[터미네이터는 없다] INTRO 인공지능 유토피아 vs. 디스토피아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PART 4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 ...
- 트리케라톱스의 쌍둥이 공룡은 헬보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명명한 이 화석을 바탕으로 연구팀은 26공룡이 살아있을 때 몸길이가 5m, 키가 1.5m 정도였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또 트리케라톱스와 유사하게 코 위에는 작은 뿔이 있고, 눈 쪽에 큰 뿔이 나 있었을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커런트바이올러지’ 6월 4일자에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이 공룡을 SF ... ...
- 당(糖, sugar)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업계를 강타한 이후 달달한 감자 스낵이 10개나 출시됐고 단맛을 내는 다른 과자들도 1년 새 매출이 52.2%나 늘었다. 인생살이의 쓴맛을 대변해온 소주조차도 유자농축액을 넣어 달착지근해졌다. 이 소주는 맛있다는 입소문이 퍼지면서 한때 품귀 현상을 빚기도 했다.식품에서 단맛을 내는 성분은 ... ...
-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결정과학동아 l2015년 07호
- 2017년 6월까지만 운전을 계속하고 이후 원전을 폐로, 해체하겠다고 밝혔다. 고리 1호기 해체에는 적어도 15년 이상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해체 예산은 6000억 원이 넘는다. 전문가들은 2050년까지 세계 원전 해체 시장이 100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러시아 핵잠수함 쿠르스크호를 크레인 없이 인양한 적이 있다. 쿠르스크호는 중량 1만8000t, 길이 154m으로 세월호와 비슷하다(인양 전에 앞부분을 일부 잘라내서 무게와 길이가 줄긴 했다). 침몰한 곳의 수심이 108m로 깊고, 조류가 초속 1.25m로 빠른 점도 세월호가 처한 상황과 비슷하다.당시 스미트 ...
- [교과연계수업] 긁적긁적, 환절기에 피부가 더 가려운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인식해요. 그래서 히스타민이 분비되고 가려움을 느끼게 되는 거랍니다. 1. 대상 : 환절기 피부 가려증이 더 심해지는 이유와 피부 가려움증에 대해 알고 싶은 학생이라면 누구나. 2. 제목 : 긁적긁적, 환절기에 피부가 더 가려운 이유는? 3. 수업 목표 ① 환절기에 피부 가려움증이 심해지는 ... ...
-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인플레이 된 타구타율(BABIP)이 MLB에 진출했을 때 7.4% 떨어졌다. 타석당볼넷 비율도(BB%)도 11.1% 줄어 출루 횟수도 줄었다. 가장 큰 낙폭을 보인 것은 장타율에서 타율을 뺀 순수장타율(ISO)이다. ISO는 무려 36.6%가 감소했다. 타석당 삼진 비율(K%)만이 4% 정도 좋아졌다(감소했다).일본 타자들은 ...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옳다는 결론을 내리기까지 심각한 갑론을박이 있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1차 세계대전에 반대했던 두 평화주의자가 과학영역에서 서로 화합하는 모습을 보이고 싶었을지도 모른다. 독일 물리학자의 이론을 영국 천문학 관측팀이 입증하는 아름다운 모습 말이다. 혹은 두 관측팀을 소브럴과 ... ...
- 광물이야기 ⑤ 오팔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물 분자와 결합해 불규칙하게 배열되면서 나타난다.*편집자 주 : 과학동아 2015년 7월호 지면에 실린 '광물이야기' 오팔 편의 사진은 편집 상의 오류로 다른 광물이 잘못 게재됐습니다. 독자 여러분께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 점 정중히 사과 드리며, 현재 웹에서 보시는 광물이 기사 속 오팔임을 알려 ... ...
이전8948958968978988999009019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