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쪽
타인
남성
남자
남방
남녘
남방셔츠
d라이브러리
"
남
"(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펭귄과 친구 된
남
극월동대장 장순근
과학동아
l
200212
남
극반도의 끝자락 킹조지섬에 있는 세종기지. 비행기를 타도 서울에서 닷새나 걸리는 곳. 5-8월 겨울에는 뱃길이 끊어지는 것은 물론 비행기로 가는 것도 쉽지 않다. 최저기 ... 0년-1992년
남
극 세종기지 4차 월동대장1994년-1995년
남
극 세종기기 8차 월동대장2000년-2001년
남
극 세종기지 1 ...
우주를 이해하는 표본 태양
과학동아
l
200212
1995년 7월에는 태양의 북극으로부터 1억4천만km 떨어진 곳을 지
남
으로써 최초로 태양
남
·북극을 일주한 탐사선으로 기록됐다.그 후 유럽은 더욱 발전된 태양관측위성 ‘소호’(SOHO)를 개발해 1995년 미국의 로켓에 실어 발사했다. 소호는 지구 상공 1백50만km 궤도에서 태양을 관측했다. 재미있는 점은 ... ...
법의학이 밝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211
수학 바빌로니아의 60진법과 12진법은 현재도 각도(角度) · 시제(時制) 등의 도량형법에
남
아 있어 우리들이 직접 그 영향을 받고 있다 1906년 독일의 A 바세르만, M 나이서, C 부룩 등이 1901년 벨기에의 J B 보르데와 프랑스의 O 장그가 발표한 용혈계(溶血系)의 보체결합반응(補體結合反應)을 매독의 ... ...
도전! 천왕성 맨눈으로 관측하기
과학동아
l
200210
밤하늘에서 금성이나 목성을 맨눈으로 쉽게 찾을 수 있다면 이보다 어두운 천왕성에 도전해볼 만하다. 천왕성은 도심에서 먼 어두운 곳에서야 맨눈으로 볼 수 ... 천왕성을 관측했다. 레모니에가 자신의 기록들을 서로 비교해보기만 했어도 역사에 길이
남
을 천왕성 발견자가 됐을 것이다 ... ...
인류 역사 재현하는 게임 창조주 김택진
과학동아
l
200210
당연한 일이다. 김사장은 그들에게 “자신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라”고 충고한다.
남
이 어떻게 살았느냐는 중요하지 않으며, 중요한 것은 자신의 마음이 스스로에게 하는 말을 듣는 일이란 것이다. 그래야 대학 진학이든, 취업이든 선택에 후회가 없게 된다. 김사장은 하고 싶은 공부를 할 수 ... ...
천마도 캔버스는 수입품 아니다
과학동아
l
200210
수 있었기 때문이다.같은 천마총에서 출토된 서조도, 기마인물도를 비롯해 금관총과 황
남
대총에서도 여러‘백화수피’제품이 출토됐다. 이로 미뤄봐 당시 신라에서는‘흰 나무껍질’의 수요가 많았다고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모두를 고구려로부터 들여왔다고 보기는 힘들다.이처럼 나무로 ... ...
버팀목 줄기 감아 고사시키기도
과학동아
l
200209
것처럼 단단하게 가지에 고정되게 만들어져 있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끄떡없이 높다란
남
의 나뭇가지에 씨앗을 보관할 수 있는 특별장치를 고안해둔 것이다. 알맞은 환경이 되면 싹이 트고 뿌리가 돋아나면서 나무껍질을 뚫는다. 속살을 파고 들어가 어미나무의 수분과 영양소를 빨아먹고 산다. ... ...
知의 놀이터, 검색엔진 구글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08
철없던 시절 인터넷에서 지지고 볶고 싸웠던 족적도 타임스탬프가 찍혀 고스란히
남
아 있다니 경이로운 인터넷이다. 고작 한두권의 미미한 사료만 갖고도, 흥미진진한 사극의 상상력을 발휘하는 것이 인간이거늘. 이 지난 20년 야사(野史)로의 생생한 타임머신 탐방은 구글이 제공하는 지적 놀이의 ... ...
왜 세계 해양학자들이 동해를 찾아올까
과학동아
l
200208
유래된 이름이다. 이제 일본의 학술지에도 동해/일본해라는 이름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남
들이 채 알아내지 못한 우리 동해의 모습을 알아내고 이를 세계에 알릴 때 우리 동해의 이름이 자연스럽게 세계에서 제자리를 차지하게 됨을 크림스 연구가 잘 보여줬다.지난 달 히딩크 감독은 월드컵을 통해 ... ...
왜 과학자들은
남
극을 찾아갈까
과학동아
l
200207
남
극 킹조지섬에 우리나라의 과학연구기지인 세종기지가 있다.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1년 내내 이 기지를 지키며 연구하고 있다. 물론 세계 여러 나라로부터 온 과학자들도 있 ...
남
극대륙을 덮는 거대한 빙원과 고층대기 같은 분야를 제대로 연구하지 못한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
는다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