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초
플라워
조화
생화
플라우어
flower
d라이브러리
"
꽃
"(으)로 총 1,98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문화
꽃
피운 과학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거의 없다. 바이스 박사는 나비들이 빨간색
꽃
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꿀이 풍부한 노란색
꽃
만 찾아다니는 것을 관찰했다.어린아이를 넣어 ‘에밀레(에미 때문에)~’ 구슬픈 소리가 울린다는 성덕대왕신종(에밀레종)의 비밀도 밝혀졌다. 8세기 한국 범종은 구리와 주석의 비율이 6:1인 청동으로 ... ...
설렘과 슬픔이 공존하는 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의 말처럼 봄은 죽은 것만 같은 땅에서 기어코
꽃
이 피어나는 것을 지켜봐야 하는 계절이다. 그래서일까. 봄이면 함께 하기 어려운 두 감정이 공존하곤 한다. 설렘과 애달픔이 기묘하게 뒤섞인 느낌이랄까.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표현하지는 않더라도 그 ... ...
Intro. 지도는 지구의 전개도?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꽃
향기 가득한 따스한 봄날, 날씨가 좋으면 무슨 소용이랴! 어디든 떠나고 싶은 마음에 마법 빗자루라도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던 찰나, 책상 위에 있던 지구본을 발견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도는 지구의 전개도?Part 1. 지도, 어떻게 그리는 걸까?Part 2. 지구의 전개도가 있을까? ... ...
Intro. 미래를 ‘공중 부양’ 시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2011년 4월 8일은 카메를링 오네스가 초전도 현상을 발견한 지 100년이 되는 날이다. 그 이래로 초전도 현상을 두고 과학자들은 여러 가지 꿈을 꿨다. 아무리 길어도 전기가 사라지지 않 ... ‘공중 부양’ 시킬 수 있을까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세상에 처음 알려진 지 100년이 지났지만 초전도 현상은 여전히 물리학자들에게 만만한 상대가 아니다. 다양한 초전도 물질, 때로는 예상을 뛰어 넘는 물질이 등장하기도 했지만, 아직도 초 ... 부양’ 시킬 수 있을까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 ... ...
애벌레의 36계 줄행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무늬까지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가볍게 천천히 춤추듯 난다. 느긋하게 날면서 짝을 찾고
꽃
을 빨며 뒷날 새끼가 먹을 식물도 꼼꼼히 찾아다닌다. 이와 같은 비행방법은 체내에 독을 갖고 있는 이들만이 누리는 특권이다. ‘나풀나풀 날다’라는 어원에서 출발한 ‘나비’의 원초적 뜻을 생각하면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전기저항이 0이 된다." 이 단순해 보이는 현상 하나가 세상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지난 100년 동안 초전도 현상을 실생활에 응용한 기술이 꾸준히 개발돼 왔다. 아직 초전도 현상을 이론 ... 부양’ 시킬 수 있을까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 ...
Part 2. 지구의 전개도가 있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있는 값(약 4만km)과 비슷하다.‘지구의 전개도?’ 순간 먹고 있던 귤을 바라봤다. 예쁘게
꽃
모양으로 펼쳐져 바닥에 버려진 귤껍질이 눈에 들어왔다. 이것을 잘 활용하면 지구를 정확하게 그릴 수 있지 않을까.수학적으로 생각하면 실제 지구에서의 위치를 좌표로 표현해 지도에 일대일 대응으로 ... ...
소개팅에서 성공하는 사랑방정식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계절 '봄’이 왔다. 따스한 봄바람과 함께 사랑의 내음도 물씬 난다. 화사하게
꽃
단장하고 소개팅에 나가 운명의 짝을 만나봐야겠다. 그런데 그 사람이 나의 운명의 짝인지 어떻게 알까. 그 사람은 나를 좋아할까.어떤 데이트 코스를 짜야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을까. 첫 번째 기사 ‘소개팅에서 ... ...
[수학으로 생각하기] 구름 모양을 알면 높이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하지만 19세기 초 영국의 기상학자 루크 하워드에게 구름은
꽃
이 되었다. 그가 구름의 이름을 불러 주었기 때문이다. 그는 이름 없는 구름에게는 이름까지 새로 지어 줬다.무언가의 이름을 짓는다는 것은 무언가의 모습과 성질을 분명히 알고 있을 때라야 가능하다. 하워드는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