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코기
고기
육질
살가죽
살갗
식용부분
가죽
d라이브러리
"
살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그런데 우리나라에는 바다소라게만
살
아요. 바다소라게는 갯벌이나 연안에
살
아서, 보통 갯벌에 가야 소라게를 볼 수 있지요.다행스럽게도 우리나라의 갯벌은 매우 깨끗한 편이라 소라게를 심심치 않게 만날 수 있어요. 또한 소라게에게 집을 내어주는 고둥이 소라게보다 많지요. 그 결과 우리나라 ... ...
[현장 취재] 1여행 1드림 프로젝트 ‘다리 밑 학교’ 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사실을 알게 됐고, 잠망경을 통해 잠수함에서 물 밖을 어떻게 내다보는지도 배웠지요.10
살
소녀 ‘뿌남 쟌두’는 “오늘 수업에 참여하려고 1시간을 걸어 학교에 왔다”며 “실험수업은 처음이라 정말 재미 있었다”고 말했답니다.동아사이언스 기자들의 이 활동은 7월 20일까지 다음 스토리펀딩에서 ... ...
Part 5. 숲 속의 다람쥐는 언제쯤 돌아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산림병해충연구과 권태성 박사는 1996년 고성 산불이 난 직후부터 개미의 변화를
살
펴봤어요. 산불이 났을 때 개미들은 땅속 깊은 곳에서 활동 중이라 피해를 많이 입지 않았어요. 하지만 이내 개미들도 그곳을 떠나야 했어요. 개미집은 안전했지만, 먹이 활동이 이뤄지는 개미집 밖은 황폐화 ... ...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다니는 어린이집 통학차량에 치여 숨진 사건을 계기로 만들어졌다. 어른이
살
폈다면
살
았을 아이들손홍탁 (주)에티켓 대표가 셔틀타요 사업을 결심한 건 한 사고 때문이다. 2016년 7월, 광주에서 4
살
난 어린이가 25인승 유치원 통학버스 뒷 좌석에서 의식을 잃은 채 발견됐다. 최고 기온이 35.3℃에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양성자나 전자, 원자핵 등을 서로 충돌시켜 우리 우주의 기원을 연구하거나 물질의 속
살
을 파헤친다. 또 X선과 같이 파장이 매우 짧은 빛을 발생시켜 기존의 현미경으로는 도저히 볼 수 없는 극미의 세계도 열었다. ‘노벨상을 수상한 연구 5개 중 1개는 가속기를 이용한 연구’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 ... ...
[Culture] 알골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멈췄다. 두 알골 사이의 공간이 이지러지는 것이 보였다. 메데이아가 흘끔 내 눈치를
살
폈다. 나는 염동력으로 개입할 생각은 없었다. 대신 멜빵바지의 앞 주머니에서 유난히 끝이 날카로운 꼬챙이를 꺼내들었다. 나는 그걸로 프로스페로의 목을 두 번 찔렀다.일그러졌던 공간이 다시 원래대로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않다. 때는 2007년, 대학교 새내기로 입학해 한창 캠퍼스 커플의 꿈에 부풀어있던 스무
살
이었다. 한 친구가 내게 청천벽력 같은 일성을 던졌다. “너 그렇게 털이 많아서 누가 좋아하겠냐? 이번 생에는 여자친구 포기해라”는 말이었다. ‘털을 다 없애버리고 싶다’는 마음이 솟구쳤다. 하지만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참여한 마이크 그로콧 영국 사우샘프턴의대 교수는 “셰르파들이 낮은 산소 농도에서
살
아남을 수 있는 원리를 이해하면 중환자실 환자들 중에서 저산소증에 빠지기 쉬운 사람들을 미리 찾아내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수학뉴스] 생물다양성 위해 내부 경쟁은 필수?!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이기는 집단은 함께 공존하지 못했어요. 그런데 내부 경쟁이 발생하자 두 집단이 함께
살
수 있는 경우도 생겼어요. 수학이 생태계를 설명한다니 놀랍죠? 이번 연구는 네이처 자매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8월 7일자에 실렸습니다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전쟁의 아픔을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축 주는 1914년 일본 점령 하에서 수많은 사람이 학
살
당했다. 축에 강제 징용됐던 한국인도 3000여 명에 이른다. 등대는 축으로 들어오는 배를 감시했던 곳이며, 세이비어 스쿨은 일본군이 통신사령부로 사용하던 건물을 학교로 개조한 곳이다. 전쟁의 흔적은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