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흙
토양미생물
미생물
토양오염
오염
토지
대지
d라이브러리
"
토양
"(으)로 총 941건 검색되었습니다.
농경생활의 채택은 인류의 최대실수?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제어드 다이아몬드' 교수는 "농업은 사회생활에서 남ㆍ녀의 불평등 권위주의 전제정치의
토양
이 되었을뿐더러 인간의 체격이나 체력도 현저히 악화시켰다"고 말하고 농업의 채택을 진보의 한단계였다는 재래식주장은 수정해야한다고 주장 ... ...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내려오는 그대로의 물도 도중에 어떤곳을 지나게 되면 나빠지게된다. 거꾸로 화성암의
토양
에서 흘러나온 물도 실리카 층이나 점토층을 통과하면 맛이 있는 물이 된다. 그리고 물자체의 자정작용도 생기게 된다. 이렇게 대단히 미묘한 균형위에서 맛이 있는 물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 중의 ... ...
야생화,집에서도 기를수 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때는 물이 잘 빠지도록 화단 아래에 잔자갈을 깔고, 부엽토를 많이 넣어주어야 한다.
토양
조건이 자생지보다 불리하게 되면 꽃의 크기나 모양은 별 차이가 없으나 줄기가 짧은 것이 다르다. 난초류는 각각 자생지의 환경이 다르므로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보춘화는 낙엽이 쌓인 음지에서 뿌리를 ... ...
PART 2 지구와 물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45만6천㎦가 해양에서 증발하고 나머지 6만2천㎦ 정도가 육지의 하천·호수 및 산림과
토양
에서 증발한다. 대기중에 내리는 수분중에서 41만㎦는 직접 바다에 내리고 10만8천㎦가 육지에 내려 강과 호수를 거쳐 수주안에 다시 바다로 들어간다(그림 참조). 물은 지구상에서 순환하는데 그 각기 담겨진 ... ...
독일이 화학에서 선두를 차지한 까닭은? 기센대학과 「리비히」의 실험교육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개발하여 화합물의 구조를 알아내는 길을 열어 놓았다. 또 그는 농예화학에도 손을 댔다.
토양
이 척박해지는 것은 식물에 의해서 함유광물이 소비되기 때문이며, 특히 생명의 유지에 필요한 Na, K, Ca, P등을 포함한 화합물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최초로 화학비료에대한 실험을 ... ...
과학자의 보람과 좌절이 점철된 연구소 24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움직임으로 보인다. '연구소장 직선제'라는 설문항목에도 알레르기성 반응을 보이는
토양
에선 창의와 자율은 싹트기 힘들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연구자들은 이상에서 살펴본 연구조직과 연구체제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은 연구생활에 얼마나 만족할까? 동아일보사가 8 ... ...
SW.2 아직은 형편없지만 2001년에는 세계5위 목표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따른 사회의 수요증가야 말로 S/W가 성장 발전할 수 있는
토양
이라 하겠다. 그리고 그
토양
을 잘 가꾸는 일은 오늘 이 땅에 사는 S/W 관계인의 의무가 아닌가 한다 ... ...
핵위험도피, 새로운 환경건설 지하세계의 실험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식물에 접합시켰읍니다. 물론 이 개자리는 염분과 남 ‘튀니지’지방의 건조한
토양
에서도 잘 견딘 잡종 개자리였읍니다. 또 우리는 페루산 토마토와 갈라파고스 제도의 짠물에서 서식하는 토마토를 교배 시키는 실험도 계속하고 있읍니다.” 고도의 기술을 갖고있는 전문인력과 그들의 다양한 ... ...
한국의 자연 대암산의 큰용늪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살고 있다. 실제로 대암산의 큰용늪에 대한 산도를 측정해보았더니 늪주변 무기
토양
의 pH는 5.6~5.7인데 비하여 습원내의 pH는 3.4~4.3으로서 평균 pH가 4.6이었다. 그러므로 이런 혹독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식물만이 서식하고 있다. 큰용늪의 대표적인 식물로서는 구조가 스폰지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 ...
영광과 좌절의 파노라마 한국의 발명가들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생활화하느냐가 중요하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발명계를 이끌어온 발명가들이 미신적
토양
위에서 자라난 세대라면 앞으로는 기초과학의 뿌리가 굳은 새로운 세대가 발명계를 이끌고 나갈 것이다. 우리나라의 기술자립에 일익을 담당할 이들에 거는 기대는 매우 크다 하겠다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