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ell
감옥
교도소
감방
szell
쎌
샐
뉴스
"
셀
"(으)로 총 1,112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요타 하이브리드 첨병 PEVE社…20년간 리콜 '제로'
포커스뉴스
l
2016.06.13
◆ 차세대 전지 기술 축적 '속도'…결함률 '제로' 니켈수소전지(Ni-MH) 제조 라인은 전지
셀
→전지모듈→전지팩 순의 첨단 시스템 생산 상황을 한눈에 보여준다. 토요타가 한국 취재진에 배터리 공장을 개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PEVE는 배터리와 전지팩 주요 설계기술을 확보하고 미래 기술을 ... ...
경쟁에서 협력으로, 우주 개발 패러다임 변화 현장에 가다
2016.06.10
‘살류트 1호’ 발사…. 인류의 우주 개발 역사에서 러시아가 세운 ‘최초’ 기록은
셀
수 없이 많다. 냉전시대부터 러시아의 ‘우주 라이벌’로 꼽히는 미국도 자국의 가장 성공률 높은 로켓인 아틀라스 5호에 러시아의 RD-180 엔진을 사용한다. 하지만 2011년 러시아는 자국의 통신위성 ... ...
세포 주기 조절 요인, 단백질(X) mRNA(O)
과학동아
l
2016.06.08
pixabay 제공 세포 주기를 조절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단백질이 아닌 전령 RNA(mRNA)라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알아냈다.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 ... 세포 주기 조절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논문은 ‘몰레큘러
셀
’ 온라인판 5월 5일자에 게재됐다 ... ...
나이 든 사람이 보수적인 이유는?
2016.06.05
pixabay 제공 나이 든 사람들이 젊은 사람보다 위험을 회피하고 보수적인 선택을 하는 이유가 ‘호르몬’ 때문인 걸로 밝혀졌다. 롭 러틀리지 ... 대해 덜 수용적이며 비판적이 되는 것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
셀
’ 자매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3일자에 실렸다 ... ...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지 마라!
과학동아
l
2016.06.03
사는 동물들이 낳는 알의 수가 보통 6개다. 바위왕도마뱀은 6보다 더 많은 수를 굳이
셀
필요가 없는 것이다. 호주에 사는 턱수염도마뱀. 수컷들은 아래턱의 비늘이 검고 거칠어서 마치 성인 남자의 턱수염을 연상시킨다. 호기심이 많고 사람과 금방 친해질 수 있어서 반려동물로 인기가 많다. ... ...
구석구석 신호 보내는 ‘스몰
셀
기지국 SW’ 개발
2016.06.02
유용하다. 정현규 ETRI 5G기가통신연구본부장은 “이번 성과는 5G(세대) 이동통신 스몰
셀
시장을 선점하고자 하는 우리나라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국내 이동통신 장비업체에 이전하고 수년 내 본격적인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 ... ...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16.06.01
확인됐다. 최근에는 실험쥐에서도 지카바이러스가 발생을 억제한다는 결과가 학술지 ‘
셀
’에 발표되기도 했다(doi:10.1016/j.cell.2016.05.008). 그러나 지카바이러스가 정확히 어떤 세포를 언제 어떻게 공격해서 문제를 일으키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태아의 발생을 연구해야 하기 때문에 윤리적으로도 ... ...
몸 속 단백질 정확한 위치 찾아낸다
2016.05.30
UNIST 제공 우리 몸 속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단백질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이를 이용하면 신약 개발 과정 시간 ... 연구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생물학 분야 권위지인 ‘
셀
리포트(Cell Reports)’ 24일자에 실렸다. ... ...
다운증후군 만드는 단백질, 다른 지적 장애와도 관련 있다
2016.05.23
민경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왼쪽)팀은 ‘DSCR1’ 단백질이 뇌 신경세포(뉴런)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제자리를 찾아가는 데 ... 지적장애를 이해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
셀
바이올로지 저널(Journal of Cell Biology)’ 23일자에 게재됐다. ... ...
[책의 향기]‘털을 뽑으면 더 많이 난다’는 말, 믿어도 될까?
동아일보
l
2016.05.14
있다. 하지만 반대로 이 호르몬은 수염을 나게 만든다. 지난해 생명과학 분야 학술지
셀
에 실린, ‘털을 뽑으면 더 많이 난다’는 속설과 관련된 연구결과도 흥미롭다. 생쥐에서 털을 드문드문 뽑았을 때는 털이 다시 나지 않았지만 많이 뽑으면 털이 원래보다 더 많이 났다. 일정 수준 이상 모낭이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