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뉴스
"
학부
"(으)로 총 1,725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감염되지 않은 일부 환자도 면역력 가져"
동아사이언스
l
2020.06.29
반응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로리 드브리스 네덜란드 에라스무스의대 바이러스과
학부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로 중증을 겪는 환자들이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면역세포인 T세포를 빠르게 만들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를 겪지 않은 건강한 사람 중 일부도 면역세포를 가진 것으로 ... ...
[인간·공감·AI]④ 게임은 AI 기술 연구하기에 가장 좋은 실험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8
또다른 국내 학자가 관심의 주인공이 됐다. 김경중 광주과학기술원(GIST) 융합기술학제
학부
교수는 그렇게 발굴된, 국내 보기 드문 ‘게임 AI’ 전문가다. 기존에는 진지한 ‘학문’의 영역으로 인정받지 못하던 게임을 2000년대 중반부터 연구해 AI가 ‘현실의 축소판’인 게임에서 상황을 파악하고 ... ...
강력한 방역정책 근거들 점점 쌓여가는데 안 보나 못 보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6.24
연구 결과들도 속속 나오고 있다. 유리 타니 우츠노미야 브라질 상파울루주립대 수의
학부
교수 연구팀이 한국의 코로나19 확산세를 분석한 결과 3월 이후 계속 속도가 떨어지던 것이 5월 중 다시 가속도가 붙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세를 가속도계 형태로 분석했다. 완화된 방역체계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 이후의 교양 교육
2020.06.24
대학도 있었다. 그러나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했던 당시의 교양 교육은 ‘
학부
제’가 도입되면서 시들해져 버렸다. 코로나 이후의 교양 교육은 스스로의 확실한 정체성을 찾아야 한다. 교양 교육도 진화해야 21세기는 과학기술의 시대이고, 4차 산업혁명의 시대이다. 세상이 완전히 ... ...
[과학게시판] 제6차 한독 과학산업기술공동위원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24
협력 연구를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를 활용해 기초과학 분야
학부
생 연수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위기 사태를 통해 나타난 미비점과 개선사항을 분석하고, 감염병 대응에 ... ...
국내 코로나19 확산세, 5월부터 브레이크는 없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발생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유리 타니 우츠노미야 브라질 상파울루주립대 수의
학부
교수 연구팀은 전 세계 환자 수 통계를 분석해 가속도로 표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인터넷으로 누구나 쓸 수 있도록 공개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누적 환자 수 곡선을 분석한 후 가속도에 따라 ... ...
[인간·공감·AI]④ 눈에 안 띄는 교통 표지판 AI로 퇴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김승준 광주과학기술원(GIST) 융합기술학제
학부
교수팀은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HCI)과 인공지능(AI), 그리고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을 연 ... 데 AI가 활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승준 광주과학기술원(GIST) 융합기술학제
학부
교수과 연구원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동아사이언스 ... ...
'핑크아이'도 코로나19 증상 가능성'다양해지는 증상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새로운 연구들이 속속 보고되고 있다. 카를로스 솔라르테 캐나다 앨버타대 안과
학부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감염자 가운데 결막염 외에 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는 사례가 발생했으며 결막염과 각결막염이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증상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캐나다 ... ...
초신성 폭발 휩쓸리지 않은 별 잔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휩쓸리지 않고 원형 그대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구본철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교수 연구팀은 초신성의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담은 원형 그대로 남은 별의 잔재를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고 이달 1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카나리아 암수 깃털색 차이를 만든 단 하나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하나의 유전자에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고르자타 가즈다 포르투갈 포르투대 생물
학부
교수 연구팀은 카나리아의 색깔 차이가 ‘베타 카로틴 산소효소-2(BCO2)’ 유전자 하나에 좌우된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12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붉은 검정머리방울새와 카나리아를 교배해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