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뉴스
"
행성
"(으)로 총 1,60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
2019.12.26
역제곱의 법칙이 작용할 때
행성
이 어떤 운동을 하는지 물었다. 뉴턴은 심드렁하게
행성
은 당연히 타원궤도를 돈다고 대답했다. 핼리는 뉴턴에게 그렇게만 말하면 자기 같은 사람은 못 알아들으니까 왜 그런지를 좀 풀어서 책으로 정리해 달라고 했다 한다. 워낙 내성적이고 논란에 휩싸이기 ... ...
새해 초 밤하늘 수놓는 유성우쇼 펼쳐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도는 스위프트 터틀 혜성의 잔해를 통과할 때 나타난다.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소
행성
‘3200페톤’이 태양의 중력에 의해 부서지고 그 잔해가 남은 지역을 지구가 통과하며 나타나는 유성우다.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는 8월 12일,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12월 14일에 장관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 최고의 연구성과 '블랙홀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12.22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20일 이름모를
행성
에서 바라보는 블랙홀 ‘M87’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옅은 붉은색 원형 속에 존재하는 M87이 강력한 중력으로 우주에서 가장 빠른 존재인 빛을 포함해 모든 물질을 빨아들이고 있다. 이 모습은 상상이 아닌 2017년 4월 5일부터 14일까지 실제 ... ...
[데스크칼럼] 중앙과학관장 '귀환'과 중력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지구와 금성, 목성에 접근해 이 방식으로 목적지 토성까지 간 사례가 유명하다. 마치
행성
에 착륙할 것처럼 접근하지만 착륙하지 않고 중력의 도움을 받아 진짜 목적지로 날아가는 모습은 당장은 부처에 승진할 자리가 없어서 잠시 과학관장으로 왔다가 화려한 자리를 찾아 날아가는 전임 ... ...
올 과학계 최대 사건은 '블랙홀 촬영'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그 결과 울티마 툴레는 납작한 공 모양 천체 두 개가 서로 붙은 눈사람 모양의 소
행성
으로 확인됐다. 지름이 14km와 19km인 천체 두 개가 각각의 중력에 이끌려 빙글빙글 돌다 지금의 형태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구글이 새로 개발한 양자컴퓨터 칩 ‘시커모어’가 특정 과제를 푸는 임무에서 ... ...
외계
행성
정밀 탐사 우주망원경 '키옵스' 내일 발사(종합)
연합뉴스
l
2019.12.17
나서기 전에 최고 중의 최고 후보를 미리 정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외계
행성
을 처음 발견해 올해 노벨물리학상을 받기도 한 쿠엘로 교수는 "작은 망원경으로 존재를 밝혀내고 더 큰 망원경으로 세부내용을 관측하는 것이 천문학의 전형이며, 우리가 하려는 것도 바로 이런 것"이라고 ... ...
한국이 발견한 외계
행성
계 이름은 '백두''한라'
동아사이언스
l
2019.12.17
이상의 천문학자가 활동하는 세계 최대의 천문 단체로 천체의 명명권을 갖고 있다. 외계
행성
은 지금까지 4000개 이상 발견돼 있으며, IAU는 지난 2015년과 올해 두 번에 걸쳐 이들 가운데 일부에게 각국의 언어로 이름을 붙이는 행사를 진행했다. 올해 행사에는 전세계 110개 국이 참여했으며, 그 가운데 ... ...
화성 바람지도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베나 연구원은 “이번 결과는 우리가 화성의 기후를 이해하는 데 도움될 것”이라며 “
행성
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더 많이 배우기 위해 상상하지 못한 방식으로 조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교과서엔 절대 안나오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
과학동아
l
2019.12.13
절대 온도가 0에 근접했을 때 형성된다. 이런 결정 구조를 지닌 얼음은 지구보다는 외계
행성
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12월호, [특집] 겨울꽃 얼음-Part1.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 ...
지구에 생명 불어넣은 '산소화' 점진적으로 진행
연합뉴스
l
2019.12.12
"인과 탄소, 산소 간의 순화 관계는 지구 산소화 역사에 대한 이해에 바탕이 됐으며, 다른
행성
이 어떻게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곳이 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