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류"(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2019.12.31
- 서비골뉴런이 없는 상태에서 서비골수용체유전자가 존재한다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인류가 진화하는 과정에서 페로몬을 통한 의사소통을 더 이상 하지 않게 되면서 쓸모가 없어진 관련 유전자들이 퇴화했고 그 과정에서 용케 아직까지 구조가 온전한 유전자 다섯 개가 남아있는 것 아닐까. ... ...
- 우주로,우주로… 2020년 그동안 보지 못했던 우주개척이 시작된다동아사이언스 l2019.12.31
- 추진 중인 글로벌 우주 인터넷 '스타링크(Starlink)' 운용 개념도. - 스페이스X 제공 2020년은 인류의 우주 개발사에 있어 기념비적인 한 해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우주인터넷 구축을 위한 통신위성들이 짧게는 2주마다 한 번 지구궤도를 향해 발사되고, 민간기업은 우주인을 실어 우주 공간에 보내는 ... ...
- [인류와 질병]오랜 친구가 좋다2019.12.28
- articles/PMC1774411/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인간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진화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행동》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정신과 사용설명서》, 《내가 ... ...
- 韓·中 3년만에 과기공동위 재개…"바이오 경제 함께 간다"동아사이언스 l2019.12.27
- 모두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성장하기를 바란다”면서 “두 나라 과학기술혁신포럼도 인류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인 고령화, 질병, 디지털 전환 등과 같은 이슈를 해결하고, 미래의 일자리 창출 및 경제성장을 이끄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 최고의 연구성과 '블랙홀 관측'동아사이언스 l2019.12.22
- 0만 광년(1광년은 빛이 1년 가는 거리로 약 9조4600억㎞)이 떨어져 있다. 이번주 사이언스는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성공한 블랙홀 촬영을 올해 과학계를 뒤흔든 최고의 연구 성과로 선정했다. EHT 연구팀은 블랙홀 촬영을 위해 아타카마 패스파인더(APEX) 등 전 남극, 안데스산맥 등 전 세계 8곳에 있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현대인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관계2019.12.21
-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절대적인 친밀감과 안정감을 선사하는 존재에 대한 갈망이 우리 인류에게 어느 정도 내재되어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꼭 혈연으로 맺어진 관계가 아니더라도 가족 같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들과 함께 행복을 나누는 따듯한 연말이 되길 바란다. 참고자료 ... ...
- [인류와 질병]알레르기의 진화2019.12.21
- 2013 (1): 46–64.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인간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진화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행동》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정신과 사용설명서》, 《내가 ... ...
- [주말 고고학산책] 최초로 닭을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2019.12.21
- 인간이 좋아하는 외양을 가진 것은 당연합니다. 이런 조건을 모두 만족해서 지금까지 인류의 친구가 된 동물은 개와 고양이, 소 등 겨우 20여 종에 불과합니다. 가축이 된 동물들은 겉모습이 달라집니다. 소의 뿔이나 돼지의 어금니처럼, 야생에서 살 때 중요하게 쓰이던 기관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혈압 예방에 유산소운동이 좋은 진화론적 이유2019.12.17
- 출신인 조선일보 김철중 의학전문기자는 지난 2013년 출간한 책 ‘내망현’에서 오늘날 인류의 수명이 늘어난 데는 혈압약을 비롯한 약물이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 정적인 생활과 칼로리 및 소금 섭취 과다로 침팬지화된 심장과 혈압 패턴으로 들어간 사람들이 약물의 힘으로 어느 정도 ... ...
- [표지로 읽는 과학] '파커 솔라 프로브' 태양의 비밀을 파헤치다동아사이언스 l2019.12.14
- 파커 솔라 프로브는 발사된 지 약 80일 후 태양 표면과의 거리를 4273만km 이내로 좁히며 인류가 만든 물체 중 태양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다는 기록을 세웠다. 이는 1976년 독일과 미국이 공동개발해 발사한 태양탐사선인 ‘헬리오스2’가 기록한 4340만km보다 가까운 거리이다. 파커 솔라 프로브는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