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흔적
발자국
자취
종적
발자욱
행방
d라이브러리
"
발자취
"(으)로 총 9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Ⅰ 인공지능연구,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06
통해 얻은 이익이 많다고 판단된다. 비전공자가 주체로인공지능이 걸어온 지난 30년간의
발자취
를 돌아보면, 놀라울 정도로 발전을 거듭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사람들은 인공지능에 대해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기도 한다. 그들은 인간과 같은 지능이 있는 컴퓨터의 구현은 불가능하다고 ... ...
모헨조다로와 하라파
과학동아
l
199002
곳인더스문명의 발상지로 널리 알려진 이 곳에는 1천3백년전 신라의 고승 혜초(慧超)의
발자취
가 남아 있다. 비록 이 유적지를 방문했다는 구체적인 기록은 없지만 그의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에 따르면 혜초는 분명히 이 일대를 다녀갔을 것으로 믿어진다.모헨조다로 도시유적은 북위 27°19' ... ...
천문시계
과학동아
l
198909
있는 이 천문시계의 학문적 이름이 정착되기까지의 사연은 마치 우리의 전통과학이 겪은
발자취
를 압축한 것과도 같다.그만큼 어려웠다는 얘기다.●―임진란 후 일시 끊겨'세종실록' 제 60권, 세종15년(1433년) 6월초 9일의 기사를 인용해 본다.정초(鄭招) 박연(朴堧) 김진(金鎭)등이 새로 만든 혼천의 ... ...
석유·천연가스 등 자원과 군사적필요에 의한 새로운 관심 북극
과학동아
l
198902
의해 이루어졌지만 정부에서의 지원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왜냐하면 새로운 세계의
발자취
를 남기는 일은 개인의 영광이기도 하지만 국가의 명예에 관련된 일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 ...
새출발 다짐하는 소련의 과학계
과학동아
l
198810
해도 후진 농업국이었던 이 나라의 오늘의 있기까지 소련인들이 걸어왔던 과학적
발자취
는 그라쳬프를 위시한 수많은 과학자들의 용맹과 연구정신, 시베리아 개척을 필두로 한 연구노력 바로 그 자체가 이루어 놓은 것이리라.아직도 제대로 알려지지 못한 많은 부분이 오늘의 소련과학을 이루고 ... ...
PART2 바싹 다가선 하이테크 스포츠시대
과학동아
l
198809
그들은 얼어붙는 듯한 추위에서도 빙하의 긴 여행을 견디어 냈다. 또 열대 정글에 인간의
발자취
를 남기기 위하여 폭염과 온갖 질병에 맞서 싸웠다. 이같은 도전을 통해 인간은 자기의 한계를 계속해서 넓혀갔다. 새 기록을 세우기 위해 끊임없이 추구해 나간 것이다. 이는 스포츠분야에서도 ... ...
대형의 아동과학전집류 붐 이뤄
과학동아
l
198808
맺는 과학전집으로 과학라이브러리 보다 2권이 많은 총 60권짜리 대형전집이다.'공룡의
발자취
' '코끼리의 세계' '두루미의 한해' '수세미 관찰' '달팽이의 비밀' '소금의 수수께끼' '행성탐험' '사막의 세계' 등 주로 동식물 세계의 여러가지 현상과 자연계의 이모저모를 보여주는 내용들로 구성돼 ... ...
해시계에서 불시계까지 시계의 발달 시계의 발달①
과학동아
l
198803
재려는 인류의 노력은 어떤
발자취
를 남겼을까. 이번 호에는 그 전반부로 해시계에서 기계시계까지를 알아본다.오늘 지구상에 있는 모든 시계가 갑자기 어디론가 사라져 버린다면 어떻게 될까? 시간이 정해준 공통된 규율 속에서 움직이고 있는 거대한 조직체인 현대사회는 갑자기 혼란에 빠지고, ... ...
자동차디자인의 세계 새로운 자동차는 어떤 모습일까
과학동아
l
198802
많으므로 앞으로의 신형모델의 등장과 관련하여 주목된다 하겠다. 스타일이 변해온
발자취
자동차의 역사는 자동차스타일의 역사이기도 하다. 사실 1886년 휘발유에 의한 내연기관 엔진을 장치한 자동차가 세상에 처음 나타난 이래 1세기동안 별로 달라진 점이 없다. 성능이 개선됐을 뿐이며, ... ...
산업혁명의 숨은 주인공 산·알칼리 공업
과학동아
l
198707
인공합성에 이르기까지 산·알칼리 공업의
발자취
는 바로 근대화학공업 발달의 역사였다. 산을 영어로 'Acid'라 한다. 이 말은 라틴어의 '시큼하다 Acidus'에서 유래한다. 고대 연금술사들이 알고 있었던 산은 식초나 과일즙 뿐이었다. 그러나 중세 아라비아 연금술사 '게버'(약 721~약 815)는 초석(NaNO₃), ... ...
이전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