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맥락
줄거리
혈맥
내막
내실
d라이브러리
"
속사정
"(으)로 총 510건 검색되었습니다.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06
폭탄을 적국까지 실어 나르는 방법은 많다. 비행기로 떨어뜨릴 수도 있고, 병사가 메고 걸어 들어가 스위치를 누를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엔 방어할 여지가 있다. 하지만 장거리 탄도탄은 이야기가 다르다. 미국이 탄도탄을 요격하기 위해 수십년동안 미사일디펜스(MD) 연구를 했지만 아직 성과는 미 ... ...
x-ray 숨은 그림을 찾다
과학동아
l
201205
것 없이 휑한 스크린과 복잡하게 얽혀있는 부품들이 신기하다.[5층 건물의 정체모를
속사정
]이것은 인형의 집일까, 실제 건물일까. 사물들이 가지런히 놓여 있는 깔끔한 구조에 모형처럼 느껴지다가도 오르락내리락~ 정교한 엘리베이터나 바쁘게 움직이는 사람들을 보면 실제 건물로 보인다.모든 ... ...
[시사] 돌아온 백설공주 수학을 알았더라면?
수학동아
l
201205
2012년 5월, 전 세계인들에게 잘 알려진 고전 동화 가 탄생 200주년을 기념해 판타지 영화로 돌아왔다. 백설공주와 왕비의 불꽃 튀는 대결과 반전에 반전을 더하는 탄탄한 줄거리가 영화를 보는 내내 긴장감을 더한다. 두 여인의 대결 종목은 오직 ‘미모’. 이기는 자에게는 훈남 왕자가, ... ...
스펀지 MATH
수학동아
l
201203
고대 바퀴는 □을 재던 도구였다!자~! 첫 번째 문제입니다. 네모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일까요? 상상력을 발휘해 자유롭게 떠올려 보세요. 생각보다 어려운 문제인가요? 여기저기서 오답이 속출하는군요! 발자국? 담벼락? 고인돌이라고요? 모두 ‘땡!’입니다. 도대체 고대 사람들은 바퀴로 ... ...
“내 꿈은 내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1202
순하게 보이는 첫 인상. 문을 열고 들어오는 모습이 조심스럽다. P학생은 이제 곧 3학년이 된다. 2학년 때까지는 전체 학생 271명 중 전교 1, 2등을 해왔다.“성실하구나. 문과와 이과 중에 뭘 선택하고 싶어?”“저는 과학이 좋아요. 그래서 이과에 가고 싶어요.”“이과를 가고 싶다면 수학이나 과학 ... ...
난, 이제 MIE로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1201
MIE(Magazine in Education). 넌 누구냐? 사회가 경제적으로 정치적으로 발전하면서 사회를 반영하는 교육도 변해왔다. 우리나라가 선진국과 경쟁하려면 암기와 대량생산보다 창의성과 지식의 융합이 중요하다. 암기-재생의 시대 → 표현의 시대(90년대 논술) →창의성과 융합의 시대(통합논술) 이제는 새로 ... ...
어느 킬러의 인정 투쟁
과학동아
l
201112
마더 테레사는 말했다. 남이 나를 원하지 않는 느낌이 세상에서 가장 불행한 것이라고. 그런 불행을 피하고자 사람들은 사랑받고 인정받기 위해 안간힘을 다한다. 독일 철학자 악셀 호네트는 그와 같은 인정 욕구를 고찰한 책에 ‘인정 투쟁’이란 제목을 붙였다. 그만큼 인정 욕구가 치열하다는 의 ... ...
1악장 - 바흐 이전의 침묵
과학동아
l
201111
경쾌하면서도 우아한 선율이 들리나요. 요한 세바스티앙 바흐가 1718~1719년 작곡한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입니다. 바흐는 바로크시대를 대표하는 작곡자로 꼽히지만, 사실 굉장히 촘촘하게 작곡된 그의 작품은 ‘자유분방하고 즉흥적인’ 바로크 음악과는 거리가 멀다는 평가도 받는답니다. ‘바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11
“오르가슴을 느낄 때 대뇌가 활성화되는 모습을 연구하기 위해서라면 성행위 도중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이나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 같은 장비를 사용해 뇌의 변화를 조사해야 하지만 이처럼 용감한 학자는 아직 없었다. 하지만 성적 쾌락이 주로 대뇌 안쪽 부분인 변연계(감정과 기억을 담 ... ...
법정에 선 지진학자
과학동아
l
201111
지진학자들의 책임을 판단하려면 먼저 문제가 된 사건(지진예측)의 성격을 살펴봐야 합니다. 지진과 같은 천재(天災)로 인한 손해는 불가항력(不可抗力)이라고 하여 예측관련 책임과 관련해 과학자에게 손해 배상의 책임을 지우지 않고 있습니다. 지진이나 태풍, 폭우 같은 자연의 변화로 일어나는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