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나
한인
중국말
중국어
d라이브러리
"
중국인
"(으)로 총 189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과학동아
l
200410
부른다”고 설명했기 때문이다. 그는 동해라는 이름을 한국뿐만 아니라 만주족(아마도
중국인
들까지) 등이 사용했다는 증거를 보여준다.서양에서 제대로 된 지도의 역사는 5백년도 되지 않는다. 그런데 한국으로 추정되는 지명이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1571년 두라도의 지도에 ‘꼼라이’(comrai)라는 ... ...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09
모양을 띤다고 해서 남쪽의 국자 별자리란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이 별자리는 고대
중국인
에게는 거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반면 고구려 고분에서는 남두육성이 10기의 고분에 나타난다.김 박사는 가장 고구려다운 별자리를 꼽으라고 한다면 남두육성을 지목하겠다고 할 정도로 이 별자리에 큰 ... ...
각국의 최초 우주인
과학동아
l
200403
만리장성은 눈으로 볼 수 없었다”라고 솔직한 멘트를 해 일부 애국심이 강한
중국인
으로부터 비난을 받기도 했다. 귀환 후 중국 과학기술을 세계에 알린 영웅으로 대접받고 있으며, 대령으로 진급했다.헬렌 샤만은 영국 최초의 여성 우주인이다. 마스 과자회사 연구원이었던 그녀는 자동차 안에서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12
촉진하고 위점막을 방어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반대로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중국인
들에서 높은 비율로 위궤양이 발생하는 것은 아마도 이들이 다른 인종들에 비해 고추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미국 휴스턴 원호병원의 소화기과장인 데이빗 그람 박사는 ...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 충북에서 발견
과학동아
l
200312
에서 양쯔강 기원설을 택하고 있다. 한동안 벼농사 종주국의 자리를 즐기고 있던
중국인
들이 최근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후난성의 볍씨보다 4천년이나 더 오래된 볍씨가 한반도에서 발견됐기 때문이다. 1997년 충북 청원군 소로리의 후기구석기 유적을 발굴하던 충북대 고고미술사학과 이융조 ... ...
13억 꿈 이뤄낸 현대판 영웅 중국 최초의 우주비행사 양리웨이
과학동아
l
200311
인물로 급격히 떠오르고 있다.레이펑은 22세의 젊은 나이로 순직한
중국인
민해방군으로
중국인
들 사이에서 이타적 삶의 화신으로 숭앙되고 있는 인물. 이 현대판 레이펑의 탄생은 중국 정부가 추진중인 우주 개발 계획과 맞물려 한동안 13억 중국 인민들을 강하게 결집시킬 것으로 보인다. ... ...
1 우주로 가는 중국
과학동아
l
200311
성공한 국가가 됐다.중국의 유인우주선 발사성공은 2008년 하계올림픽 유치와 더불어 13억
중국인
들의 자부심이 한껏 고양되는 계기가 됐다. 또한 중국이 명실상부한 과학기술의 강대국임을 전세계로부터 인정받는 전기가 됐다. 우주개발에 있어서 아시아의 선두주자로 자부하고 있던 일본은 충격 ... ...
중국 유인우주선 발사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200310
발사는 세계 최대 다목적댐인 싼샤댐 건설, 2008년 베이징올림픽 유치와 함께
중국인
의 민족주의를 한껏 고양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그러나 이 신문은 미국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중국의 우주탐사 계획은 1950년대 옛소련의 우주선 발사 때와 같은 충격을 미국인들에게 줄 ... ...
1 무기여 안녕! 유기전자공학 시대 도래
과학동아
l
200309
유기 반도체로도 효율이 높은 발광다이오드가 가능하다. 1987년 미국 이스트코닥사의
중국인
과학자 칭 W. 탕이 처음으로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개발했다.분자세계를 설계하는 유기화학자그런데 발광다이오드를 유기물로 대체할 경우 디스플레이에서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게 됐다.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08
존재할까차가움을 이용했던 인류의 기록은 기원전 10세기 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중국인
들은 얼음창고를 이용했으며, 로마나 그리스에서도 겨울철의 눈을 모아 벽 사이에 넣어 빙고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신라 지증왕 시절인 505년에 음식물을 저장했던 석빙실의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