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금성"(으)로 총 835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유기물과 무기물 섞어 스마트 소재로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유기물이 아닌 화합물)로 나뉜다. 하지만 이들의 성격은 마치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처럼 너무나 다르다. 박진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는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유기물과 무기물이 한데 어우러진 ‘하이브리드 물질’을 설계하고 있다. 세상에 없던 ...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공처럼 둥글다. 물론 맨눈으로 보이는 태양이나 달, 우주망원경으로 찍은 화성이나 금성 등도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천체는 구형이다. 질량이 충분히 큰 물체는 내부 중심으로 중력이 작용하는데, 표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 모양을 띠고 있다. 연구팀은 육면체 지구의 질량이 실제 지구와 같다고 ... ...
- Part 5. [미션 임파서블] 태양열을 견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가도록 궤도를 바꾸는 거예요. 탐사선은 태양을 24번 도는 동안 금성을 7번 지나치는데, 금성을 지날 때마다 태양과 점점 가까워진답니다.이렇게 행성의 중력을 이용해 속도를 바꾸는 방법을 ‘스윙바이’라고 해요. KAIST 항공우주과학과 방효충 교수는 “연료를 최대한 아끼면서 탐사선의 속도를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추측이 하나 있지만, 에반스 교수와는 달리 나는 이 추측을 남에게 말해준 적이 없다. 금성 가설보다도 훨씬, 훨씬 농담 같은 이야기니까. 입 밖으로 꺼내기조차 꺼려지는 이 가설이 불현듯 떠올랐을 때, 나는 기생충학자 정 박사의 연구 결과를 전해 듣고 있었다. “그 샘플 말인데요, 표면에 뭐가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아주 단순했다. 인류의 생존을 위한 우주 탐사.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소행성대나 화성, 금성에 있는 식민지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 하지만 태양계 자체가 멸망한다면 어찌 될까? 유일한 답은 다른 항성계를 찾아 개척하는 것뿐이었다. 하지만 어떻게 찾겠는가? 고성능 우주망원경으로 이미 수많은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월 22일 새벽 3시 30분. 수성과 금성, 초승달이 삼각형을 그리고 있는 밤하늘을 바라보며 조용히 집을 나섰다. 지금껏 경험한 어떤 취재보다 이른 시간이었다. 한 시간 반쯤 흘렀을까. 동이 틀 무렵 도착한 경기도 용인시 명지대 전통가마에서는 이미 땔감을 가마에 넣는 작업이 한창이었다.“약 12시간 ... ...
- [과학뉴스] 지구랑 꼭 닮은 외계 행성 7개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트라피스트-1’과 그 주변을 공전하는 행성 7개를 찾은 거예요. 이 행성들은 마치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8개의 행성이 태양 주변을 공전하는 것처럼 트라피스트-1 주변을 돌고 있답니다.●1광년 : 빛의 속도로 1년을 이동한 거리. 약 9조 4670억 km에 해당한다.연구팀은 ...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거쳐 2004년 2억7000만km 떨어진 토성의 위성 타이탄의 메탄호수를 촬영했다. 카시니호는 금성에서 두 차례, 지구와 목성에서 각각 한 차례씩 스윙바이를 했다. 지구가 포함됐다는 이유로 우주과학자와 환경론자사이에서 찬반논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지구 공전 속도에 영향을 미칠 우려 때문이었다. 방 ... ...
- [Origin]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번째 시도에서 궤도 진입에 실패했는데, 무려 5년을 기다려 재도전에 성공했거든요. 최근 금성 대기에서 길이가 1만 km나 되는 활 모양 무늬를 관측했다는 반가운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밖에도 ISAS는 2010년에 태양의 복사압을 추진 동력으로 삼는 우주범선(이카로스)을 최초로 시험했고요. 2014년엔 ... ...
- 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 시계는 프랑스에서 만든 ‘태양계 시’다. 가운데 황금색 태양을 중심으로 수성 88일, 금성 225일, 지구 365일, 화성 687일, 목성 12년, 토성 29년의 공전주기에 따라 돌면서 태양계 행성들이 현재 어느 위치에 있는지 보여 준다. 현재 시각은 가장 바깥쪽의 혜성이 알려 준다.행성들은 모두 톱니바퀴의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