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쪽"(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장맛비만 54일 역대급 긴 장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지난 6월 시베리아에 유례 없는 고온현상이 나타나 제트기류*가 약해졌어요. 제트기류가 남쪽으로 쳐지면서 북쪽의 차고 건조한 공기가 우리나라까지 내려왔고, 장마 전선이 북쪽으로 이동하는 걸 막은 거예요. 북태평양 고기압과 건조한 공기 사이에 낀 장마 전선이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아밀레이스(amylase), 경도(經度, longitude)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북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가리켜요. 적도를 기준으로 지구를 180등분 한 뒤 남쪽은 남위(0~90°N), 북쪽은 북위(0~90°N)로 나눴어요. 위도에 따라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가 달라, 고위도인 극지방으로 갈수록 추워지는 기후 특징이 있답니다 ... ...
- 바다거북 알 도둑, 코끼리 밀렵꾼 과학이 끝까지 잡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증가했다. 이에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비롯한 보츠나와, 짐바브웨, 케냐 등 아프리카 남쪽에 위치한 국가들은 DNA 기술을 이용해 본격적인 밀렵꾼과의 전쟁을 시작했다. 특히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코뿔소 사체 발견 시 DNA 샘플 채취를 의무화하고, 살아 있는 코뿔소의 DNA도 채취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 ... ...
- [쇼킹 사이언스] 물속에선 내가 왕! 스피노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거든요.연구팀은 지난 2008년 북아프리카 모로코 남쪽에 위치한 켐켐 지층에서 발견된 스피노사우루스의 화석에 주목했어요. 이 화석은 지금까지 발견된 스피노사우루스 뼈화석 중 가장 보존이 잘 된 것으로 알려졌어요. 그러나 일부가 지층 속에 묻혀 ...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예상치 못한 임무가 하나 더 생겼다. 폴라스턴호가 정박한 해빙이 예상보다 빨리 남쪽으로 이동해 급격히 녹았고 7월 30일 여러 조각으로 부서진 게 확인됐다. 극지연구소는 해빙이 붕괴할 가능성이 파악된 이 시기부터 위성을 이용해 폴라스턴호를 옮길 만한 안전한 해빙 후보지를 찾고 있다. 8월 1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초속 1.7km로 비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폭발이 있었지만 관성력에 의해 발사대에서 남쪽으로 411km나 떨어진 공해상에 낙하한 것으로 분석됐다. 마침 부근에 있던 우리 해군함정이 나로호의 파편을 수거했다. 처참한 두 번째 실패였다. 실패 원인을 찾기 위한 노력은 다음 화에서 이야기한다 ...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한다. 예상 기한은 나와 있지만, 항해 상황에 따라 1~2주 당겨지거나 늦춰지기도 한다. 남쪽의 해양 조사 지역을 지나 최북단에 다다를 때쯤에는 해빙 캠프 후보지가 아라온호에 전달돼 있어야 한다. 해빙 캠프 후보지가 결정되면 아라온호에 탑승한 연구원이 무인기를 띄워 해빙 주변을 직접 ... ...
- [팩트체크] 올해 역대급 폭염 찾아올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반대로 고위도 지방의 차가운 공기를 가져오면 추위가 시작되는 것이죠. 제트는 남쪽과 북쪽 대기의 온도차가 클수록 강하며, 비교적 곧게 흐릅니다. 반대로 온도차가 작으면 제트는 마치 뱀이 기어가듯 구불구불하게 흘러갑니다. 이를 사행(蛇行)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중위도 지역 제트의 ... ...
- [쉬러가다] 바다 쉼터로 간 흰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알려줘!정식 명칭은 ‘벨루가 고래 쉼터’로, 북대서양 섬나라 아이슬란드의 본토에서 남쪽으로 7km 떨어진 ‘헤이마에이섬’에 있어. 우리 같은 흰고래가 살 수 있는 바다 쉼터인데, 지난해 4월 문을 열었지. 고래를 위한 바다 쉼터로는 세계 최초야. 여기 말고도 캐나다 동부 연안 등 세계 여러 곳에 ...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많은데, 어릴수록 경쟁에서 밀려 더 먼 남쪽까지 오는 거죠. 한반도가 독수리 이동지의 남쪽 끝이기 때문에 탈진 상태의 독수리도 많아요. 이렇게 쓰러진 독수리들은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구조한 뒤 기력을 회복시켜 다시 자연으로 돌려보낸답니다. 필자소개 김정호 수의사충북대학교에서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