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방"(으)로 총 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공계 위기를 열기로 바꾸는 과학 전도사과학동아 l2003년 03호
- 앰배서더 사업 출범 5개월이 지난 지금 1백50명에 달하는 과학기술 홍보대사들이 전국의 방방곡곡을 누비면서 청소년들의 이공계 열기를 후끈 달아오르게 만드느라 분주하다. 게다가 아직도 3백여명의 과학기술 홍보대사들이 대기중이다.현재 과학기술 앰배서더 사업은 한국과학문화재단과 ... ...
- 한치의 오차 없는 우편 배달 시스템과학동아 l2002년 12호
- 사람에게 배달되기를 바랄 것이다. 하지만 이를 배달해야 하는 입장은 어떨까.전국 방방곡곡에서 밀려드는 우편물의 양은 그야말로 엄청나다. 특히 연말연시에는 배달해야 할 양이 급격히 늘어나기 때문에 자칫하면 ‘배달 사고’가 일어날 수있다. 그러나 이런 일은 좀처럼 일어나지 않는다. ... ...
- 왜 세계 해양학자들이 동해를 찾아올까과학동아 l2002년 08호
- 열기 속 ‘대∼한민국’의 구호가 메아리 치는 가운데 우리나라 경기 때마다 전세계 방방곡곡에 애국가가 울려 퍼졌다. 애국가 첫머리를 장식하듯 동해는 우리 민족과 끊을 수 없는 관계다.그렇다면 우리는 동해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는 것일까. 안타까운 일이지만 우리나라 사람들 대부분은 ... ...
- 사랑과 이별의 하늘강 은하수과학동아 l2001년 07호
- 젊은이도 이런 별빛을 온몸으로 맞으며 자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수많은 사람이 방방곡곡 들어선 천문대를 견학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 천문대는 어느 정유회사, 자동차회사, 철강회사를 기념하는 천문대여도 좋고, 훌륭한 선조를 기리는 천문대여도 좋다.그러나 그 시작은 자녀에게 우주의 ... ...
- 긴급점검 사이버 교육과학동아 l2000년 03호
- 말도 하고 웃기도 한다. 혼자 무엇을 하는 것일까. 인터넷을 통해 사이버공간에서 세계 방방곡곡에 있는 친구들과 함께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 뉴욕에 있는 유명한 천문학교수가 진행하는 ‘우주의 진화’에 대한 강의다. 컴퓨터에는 카메라와 마이크가 설치돼 있어, 교수와 친구들의 얼굴과 행동을 ... ...
- 인터넷 여행정보과학동아 l1998년 08호
- 길잡이.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일부로 시작하는 이 코너는 우리나라 방방곡곡의 문화유적지를 지도에서 쉽게 찾을 수 있게 구성한 '우리문화 답사', 답사여행을 떠날 때 알아야 하는 기초상식을 모아 둔 '길잡이'가 있다. 또 답사용어집, 관련 참고도서목록 등은 답사여행의 ... ...
- 과연 인류의 앞날은?과학동아 l1998년 04호
- 20세기20세기로 들어오면서 세상은 무척 복잡해졌다. 세상은 꾸준하게 산업화돼 지구 방방곡곡까지 문명의 이기들이 퍼져나갔다. 그러나 사회는 불안정했다. 러시아에서는 사회주의 혁명이 일어난 후 새로운 관료체제가 득세하기 시작했고, 미국의 노동자들은 열악한 환경에 시달리고 있었다. ... ...
- 단군은 박달나무의 아들과학동아 l1998년 01호
- 동안이나 팔만대장경판을 썩히지 않고 온전하게 보존하기란 쉽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방방곳곳에서 자라던 닥나무가 없었다면 천년을 두고도 변치 않는 한지를 생산하지 못했을 것이며, 세계에 자랑하는 기록문화유산인 조선왕조실록의 편찬이나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 인쇄술 역시 불가능했을지 ... ...
- 제주도 양치식물 탐사를 마치고과학동아 l1994년 09호
- 아니라 어떤 연구도 가능할 것입니다. 선진국의 경우 그러한 동호인 모임이나 연구회가 방방곡곡에 있습니다. 나는 특히 우리 인구의 절반이 잠들어 있다고 보는데, 여성들의 힘을 이끌어낸다면 우리 식물 분류학도 엄청나게 발전할 겁니다. 여러분의 분발이 요구됩니다 ... ...
- 생태계과학동아 l1993년 04호
- 터줏대감인 자생식물들을 관찰·연구해 오고 있는 '한국자생식물연구회'는 삼천리 방방곡곡을 섭렵하면서 가장 절실히 깨닫는 것은 자연에 대한 이해라고 한다. 한마디로 자연을 모르기 때문에 자연을 보호하지 않고 파괴한다는 것.우리나라 자생식물은 3천2백여 종이 있는데, 이들 중에 우리의 ... ...
이전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