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계"(으)로 총 1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도파민 중독, 오해와 진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수 있는 질환이다.(*미국정신의학협회(APA)가 만든 정신 질환 진단 기준 및 분류 체계. 전 세계 정신의학 진단의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2013년 출판된 제 5판(DSM-5)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도파민 중독이라 표현하는 행동이 실제 도파민 보상회로만의 작용인지도 불분명하다. 김정연 한국뇌연구원 ... ...
-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일곱 개 별과 초승달, 그리고 보름달 또는 태양으로 해석되는 둥근 원이 그려져 있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휴대용 천문 지도로 꼽힌다. 천문 연구는 동아시아 각국에서 절기를 계산하고 천재지변을 예측할 뿐 아니라 왕실의 권위를 높이는 역할을 톡톡히 수행했다. 한국에선 조선 건국 직후인 139 ... ...
- [컬쳐] 태초에 그 논문이 있었다 막스플랑크의 양자론을 이해하는 법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때문에 국가의 연구기관부터 IBM, 구글과 같은 글로벌 IT기업과 스타트업까지 전 세계 양자 과학자들은 양자컴퓨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최근엔 1000큐비트의 벽을 연달아 깨는 성과도 나왔습니다. 2023년 10월에는 미국 스타트업 아톰컴퓨팅이, 같은 해 12월에는 IBM이 각각 1000큐비트가 넘는 ... ...
- 식품 속 발암물질 제대로 알기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아크릴아마이드도 모두 2A군(발암 추정 물질)에 해당합니다.2023년 여름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아스파탐’은 어떨까요? IARC의 2B군 지정 소식에 뉴스와 신문은 “아스파탐이 발암물질로 지정됐다”고 보도했죠. 뭔가 이상함을 눈치 채셨나요? 맞습니다. 2B군은 발암 가능성이 있는 ... ...
- 우주에서도 문제 없다! DNA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어려울뿐더러 에너지 문제와도 연결됩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0년 기준 전 세계 데이터센터가 지구 전체 전력 소모의 1%를 차지했다고 발표했어요. 데이터가 늘어나면 이 비율도 점점 증가하지요. 최 교수는 “데이터센터에 있는 저장 장치는 늘 전원이 연결된 상태로, 정보가 변형되거나 ... ...
- [지사탐 인터뷰] 다함께 기록하자! 우리동네 제비꽃 '문현지'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제비꽃의 변화를 관찰하는 재미가 있어요. Q 제비꽃은 얼마나 다양한가요?제비꽃은 전 세계적으로 660여 종이 있다고 알려졌어요. 그중 우리나라에서 분포하는 제비꽃은 40종 정도지요. 고산지대나 화산지대처럼 척박한 환경에서만 자라는 제비꽃도 있어요. 아르헨티나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비올라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주머니에서 녹지 않는 초콜릿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지내기 어려워졌기 때문이죠. 영국 런던 자연사박물관 생명과학부 연구팀은 2023년 전 세계 1507개 지역의 작물과 곤충 생태계를 분석했어요. 그 결과 작물의 수분을 도와주는 곤충은 모두 3080종이었습니다. 대부분은 카카오 열매, 커피 원두 등이 열매를 맺는 데 직접적으로 연관돼 있었지요. 이어서 ... ...
- 통계로 정해지는 이적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박사는 실시간 스포츠 정보를 알려주는 유튜브 채널 ‘라이브스코어’에서 “축구 세계에서 수학을 사용하는 방법을 대중에게 보여줄 수 있어 즐거웠다”라며, “이번 연구 결과에서는 호날두가 최고 선수에 올랐지만, 다른 후보들의 기록도 쟁쟁해 GOAT 논쟁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 ...
- [한장의 과학] 집게가 소라 대신 플라스틱 집을 고른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이후 이들의 종과 집의 종류를 구분했다. 그 결과 인공 껍질은 태평양, 대서양 등 전 세계 바다에서 쓰이고 있었다. 육지 집게 16종 중 10종에서 인공 껍질이 관찰됐고, 특히 플라스틱 껍질은 전체의 84.5%를 차지할 정도로 널리 쓰이고 있었다. 금속(5.4%), 유리(5.4%), 금속과 유리 혼합(4.7%) 재질이 뒤를 ... ...
- [기획] 총알보다 빠른 극초음속 비행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가능할까. 초음속기가 조금 더 빨라지면 된다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극초음속의 세계는 초음속과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탑건 다크스타’의 진짜 모델, SR-72 ‘탑건: 매버릭’에 등장한 다크스타는 실제 개발 중인 항공기를 모델로 삼아 만들어진 기체다. 바로 미국의 항공우주 기업 록히드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