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가지고 있다. 특히 로봇은 AI의 껍데기(인터페이스)로 기능하며, AI를 가상공간이 아닌 세상 밖으로 돌아다니게 할 수 있다. 로봇윤리가 지켜지지 않는다면 인간의 존엄성, 행복 등 기본 권리는 물론 심신의 안전까지 침해받을 수 있다. 현재 세계는 로봇윤리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아시모프의 로봇 ... ...
-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이 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활용한 동물등록 의무화를 검토합니다. 임 대표는 “회사 비전인 ‘유기동물 없는 세상 만들기’의 첫 번째 미션이 펫보험 대중화”라며 “정확도 높은 생체등록 기술로 반려동물 등록률을 높이고 펫보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핵심은 ‘신원’이예요. 신원확인이 ... ...
- 멋진 증명을 가리키는 말, 신의 증명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아름답게 증명해 주목을 받은 증명이 있답니다. 신의 책이라는 말이 나온 것처럼 세상에는 많은 사람이 정말 멋진 증명이라고 생각하는 수학 증명도 있습니다. 증명의 세계가 얼마나 아름답고 재밌는지를 보여주는 몇 가지 증명을 소개해볼게요. 비둘기의 집 원리를 아시나요? n이 자연수일 때 ... ...
-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박멸하려는 인간의 시도는 늘 실패할 수밖에 없다.”_브룩 보렐, ‘빈대는 어떻게 침대와 세상을 정복했는가’ 중 새로운 연구가 지금 당장 전 세계 빈대를 박멸한다고 해도, 우리는 그것이 언젠가 강해져 또다시 나타날 것을 압니다. 막을 방법은 전혀 없는 걸까요? 이 교수는 “빈대의 저항성이 ...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됐고, 그동안 만났던 수많은 수학자 덕분에 재밌게 이 길 위에 계속 서 있을 수 있었어요. 세상 많은 일이 그렇듯, 수학도 혼자 하기엔 너무 힘들고 외로운 길이거든요. 수학은 추상적인 대상일지 몰라도, 수학을 이루는 것은 이 공동체에 있는 수많은 사람의 이야기라고 생각해요. 인문학자 : 이번 ... ...
- 미술관에 떠오른 태양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편집자주. 예술의 언어로 세상을 재창조하는 작가들은 오늘도 호기심 많은 눈으로 과학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그들의 손에서 재탄생해 미술관 속에 들어앉은 과학을 연재를 통해 소개합니다.)덴마크의 예술가 올라퍼 엘리아슨이 2003년 영국 테이트 모던 미술관에 설치한 작품 ‘The weather project(날씨 ... ...
- [커리어] 과학과 의학 그리고 꿈이 만나는 현장, IBS 나노의학 연구단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놀라움을 불러일으켰다. “철학적인 질문이네요.” 박 연구원은 빙그레 웃으며 “어떤 세상에 기준을 두고 생각하느냐에 따라 무엇이 금의 ‘본래’ 색인지 다르게 생각할 수 있겠다”고 대답했다. 금을 합성하는 실험의 주인공은 전예지 독자였다. “실험에 자원할 사람이 있느냐”는 박 연구원의 ...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사망하는 날이야. 보통은 자연사한다더군.” 범죄. 이건 명백한 범죄 행위다. 범죄 없는 세상을 위해 태어나 운영되는 특수 정보국이, 기득권층의 전유물이 돼 범죄를 방조하고 선량한 시민들을 기만한 것이다. 충격에 빠진 나와 달리 제임스는 이 모든 것이 너무 당연하다는 듯, 별다른 동요 없이 ... ...
- 세상에서 가장 섹시한 수, 섹시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수학자에게 가장 섹시한 수를 꼽으라 하면 단연 섹시 소수를 그 예로 들 것이다. 섹시 소수는 5와 11처럼 차이가 6씩 나는 ‘소수쌍’을 말한다. 대체 왜 이런 이름이 붙었을까? 라틴어에서는 6을 ‘섹스(sex)’라고 한다. 수학자는 여기서 아이디어를 얻어 한 번 들으면 절대로 까먹지 않고, 사람의 흥 ... ...
- 디지털 종이에 똑똑한 수학 기능 담다, 스티븐 챈 굿노트 CEO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이해할 수 있다고 믿었거든요. 하지만 물리학과에서 수학 강의들을 듣다 보니, 수학이 세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게다가 프로그래밍에 수학 지식이 꼭 필요하다고 느껴서 수학과로 전과했지요. Q. 대학 시절에 프로그래밍 공부는 따로 안 했나요? 대학에 들어가서 2년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