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원
d라이브러리
"
수용 능력
"(으)로 총 4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박테로이데스의 미생물 대다수는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다당류 분해
능력
을 가지고 있다. 라크노스피라는 면역계 보호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 교수팀은 왜소증 주민 99명의 유전자를 분석했다2). 그 결과 성장호르몬
수용
체(GHR)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됐다. 이
수용
체가 고장나면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주인공은 20배 이상의 배율을 갖는 인공 눈을 갖췄다. 우선 확대
능력
은 상대적으로 쉽다. 2015년, 스위스 로잔공대의 에릭 트렘블라이 교수팀은 ... 더 현실적이다. ‘인공망막’이다.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해서 광
수용
체 세포 위치에 전류를 흘려주는 원리다. 이 전류는 광
수용
체 바로 아래에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기록 장치였다).아침이면 그날 당번이 카페인
수용
액을 데우고 식사를 준비했다. 노인과 나는 주로 ... 갑자기 진지하게―대개는 노인이 합성한 알코올
수용
액을 마신 날이었다―각자 전에 했던 퀘스트를 ... 정보화로 확장된 세계에 대한 조망과 통제
능력
을 상실한 채 암울한 혼란기를 보내고 ... ...
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HA 단백질이 숙주세포의 표면에 있는 시알산
수용
체를 인식하고 붙는다.② 2 바이러스가 세포 ... 사람의 호흡기 세포는 각각 다른 시알산
수용
체를 갖고 있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마다 각각 조류와 사람을 감염시킬 수 있는
능력
이 다르다. 그래서 다른 종 사이에 독감이 전염될 가능성이 낮다. ... ...
[포커스 뉴스] 우주 극한환경 만들어 물질 결정의 본모습 찾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개발한 장치로 우주의 무중력환경을 만들어
수용
액 속 초과포화상태의 물질 결정을 명확하게 ... 상태란 액체가 어떤 물질을 녹일 수 있는
능력
을 극대화 시킨 것이다. 초과포화 환경에서는 ... 이 장치를 이용해 상온에서 인산이수소칼륨(KDP)
수용
액의 물방울을 공중에 띄웠다. 용기와의 접촉면을 ...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단수이배성 가설은 일거에 사람들을 매료시키며 해밀턴의 이론이 널리
수용
되는 데 큰 몫을 했다. 미국 하버드대하버드대의 개미학자 에드워드 ... 있었다. 그래서 해밀턴은 “성비를 통하거나 친동생의 성을 구별하는
능력
을 통해서 일꾼이 주로 여동생을 키울 것(해밀턴, 1975년, 213쪽)”이라고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돌연변이를 일으킬 위험이 있다. 게다가 약을 표적 세포로 보내주는
능력
도 떨어진다.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전달체를 만든 연구도 있다. 안형준 ... 암세포를 능동적으로 찾아갈 수 있게 만들었다. 암세포는 표면에 엽산
수용
체가 과도하게 발현돼 있기 때문이다.암세포에 들어가면 전달체가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두뇌다. 인간을 기준으로, 입 속으로 꿀이 들어오면 혀의 미뢰 속 맛
수용
체가 꿀을 이루는 당 분자를 붙잡아 생체전기신호를 만든다. 이 신호는 ... 마치 좀비처럼 현재 자신이 처한 처지를 파악하고 적절한 행동을 하는
능력
, 즉 의식을 잃어버린채 저항하지 않고 끌려 간다.실제로 최근에 곤충이 ... ...
[과학뉴스] “또렷하게 보려고” 눈 굴리는 갯가재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일세 데일리 연구원팀은 이것이 갯가재가 눈을 굴려 편광을 인지하는
능력
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자연의 빛이 어떤 ... 편광을 볼 수 있다.연구팀은 갯가재가 눈을 굴려서 빛의 편광각에 맞게 광
수용
체를 정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광
수용
체가 정렬되면 사물에만 ... ...
온 몸이 느끼는 맛 이야기 1. 혀에서 느끼는 5가지 맛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맛은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과 이온 성분을 알려주고, 독성은 피하게끔 하는 신호로 진화했다. 특히 설탕이나 과당, 탄수화물 등 단맛 물질은 다른 맛 물질에 비해
수용
체와 결합하는
능력
이 상당히 약하다. 단맛에 질리는 시간을 최대한 늦춰서 우리 몸이 당을 최대한 많이 먹도록 하기 위해서다.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