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d라이브러리
"
실험실
"(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어봤습니다 ❸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올랐습니다. 목적지는 서울대공원 종보전연구실의 유전자 은행입니다. “동물원 한편에
실험실
이 있고, 동물 보전 연구를 한다는 사실에 깜짝 놀라는 사람이 많아요.” 유미현 연구원의 설명입니다. 유 연구원이 두꺼운 철문을 열자 영하 196℃ 액체질소 탱크와 영하 80℃ 초저온냉장고 등 다양한 ... ...
양자와 친구가 되는 곳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체험했다. “어지러워요!” “멀미나요!”라는 탄성이 여기저기서 터져나왔다. 신기한
실험실
의 모습만큼이나 독자들의 호응을 끌어낸 건 마지막 일정이었던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IBS QNS 단장과의 점심 식사였다. 하인리히 단장과 이야기를 나누며 금세 친해진 독자들은 랩투어를 마치고 연구실 ... ...
[이달의 뉴스]줄기세포로 만든 적혈구 사람에 최초 수혈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실험실
에서 만든 적혈구를 사람에게 수혈하는 최초의 임상시험이 시작됐다. 성공적으로 시험을 마치고 적혈구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면 주기적으로 수혈을 받아야 하는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영국 국립보건연구원(NIHR)은 케임브리지대, 브리스톨대 등 공동연구팀이 줄기세포를 ... ...
[성진우의
실험실
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배아 착상을 모방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정자와 난자가 만나 만들어진 포유류 수정란은 연속적인 난할(수정란의 분할)을 통해 여러 개의 세포로 나뉘어 ‘배반포(blastocyst)’를 만듭니다. 배반포는 태아가 될 부분인 배아줄기세포와 태반이 될 영양막줄기세포로 이뤄져 있습니다. 성숙된 배반포가 엄마 자궁에 착상한 뒤 배아로서 잘 자랄 ... ...
[5년 후, 과학은]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 조직공학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정교한 생명을 다루는 낯선 분야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기엔 매우 짧은 시간입니다.
실험실
에서 이룬 조직공학의 성과가 병원에서 수많은 환자에게 혜택을 주고 있다는 건 분명합니다.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에서 인간을 연구하는 매력적인 조직공학이라는 학문에 앞으로도 많은 관심 ... ...
2mm 캡슐이 만들어낸 커다란 도약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등에서 연구하고 있다. NIF는 미식축구장 3개를 이어 붙인 크기(1만 3500㎡)의 거대한
실험실
에 직경 1m의 레이저 빔을 총 192개 설치했다. 연료 캡슐은 지름 2mm로 금속 원통(hohlraum) 안에 들어 있다. 구 모양의 연료 캡슐은 핵융합을 일으키는 연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로 가득 차 있다. 금속 원통에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 3 2 1!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2023년 새해를 맞이해 섭섭박사님은 집에 있던 오래된 시계를 보며 1월 1일 00시 00분 00초가 되길 기다리고 있었어요. 괘종시계의 시계추가 흔들리는 것을 바라보며 들뜬 마음을 추스르던 그때! 문득, 섭섭박사님은 시계추를 닮은 재밌는 실험을 해보자고 말했어요. 도전실험어떤 줄이 움직일까?섭 ... ...
[특집]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진동도 느끼지 못한다. 그런데 사람은 느낄 수 없는 미세한 진동조차도 용납할 수 없는
실험실
이 있다. 김선희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QNS) 대외협력팀장은 “실험동에 있는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은 주차장, 화장실 등에서 나오는 진동에도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 ...
[성진우의 ‘
실험실
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지구상에는 수많은 종의 생명체가 존재합니다. 육지는 물론이고 에베레스트산 높이보다 더 깊고 어두운 바닷속에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생명체가 각자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갑니다. 하지만 우리는 어떤 생명체가 고등하다 혹은 하등하다고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대신 복잡한 혹은 간단한 ... ...
[특집] 900만명 먹을거리 어떻게 해결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냄새 및 오물 처리에 대한 문제가 해결돼야 합니다. 또, 앞으로는 배양육이나 대체육 등
실험실
에서 생산하는 육류도 고려해야 합니다. 한편 식물과 함께 키우기 적절한 단백질원은 물고기입니다. 식물에 필요한 유기물을 물고기의 배설물에서 얻을 수 있지요. 하지만 이런 동식물을 키우는 단계에서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